|
식민지 홍콩의 열대의학 연구와 세균설: 말라리아와 페스트 방역을 중심으로
신규환
Korean J Med Hist. 2024;33(2):477-502.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477
|
|
|
근대중국 『해관의보(Medical Reports)』의 간행과 의학사적 의의
진칭
Korean J Med Hist. 2024;33(2):431-475.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431
|
|
|
임상 경험의 학문적 지위 높이기: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제1내과와 『임상내과학』
박지영
Korean J Med Hist. 2024;33(2):299-33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299
|
|
|
4월 혁명과 의료 공간의 장소성: 서울 도심의 주요 병원을 중심으로
신창훈
Korean J Med Hist. 2024;33(1):103-13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4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4.33.103
|
|
|
원말 의학과 유학의 결합 양상: 단계 주진형을 중심으로
민병희
Korean J Med Hist. 2023;32(3):1075-112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1075
|
|
|
일본의 의사학 교육 150년: 역사와 과제
이규원
Korean J Med Hist. 2023;32(2):661-696.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661
|
|
|
의료시스템과학 등장의 역사적 배경: 191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미국 의료 체계 개혁과 의학교육을 중심으로
공혜정
Korean J Med Hist. 2023;32(2):623-659.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623
|
|
|
의과대학에서 의학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시기, 구성, 교수법
박지영, 박승만
Korean J Med Hist. 2023;32(2):595-621.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595
|
|
|
근대기 의료 윤리로서의 ‘인술’의 재탄생
이효진
Korean J Med Hist. 2023;32(1):355-386.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355
|
|
|
통일 신라의 임상 의학은 어떻게 이뤄졌을까: 의학 교육 기관 ‘의학(醫學)’의 설치와 그 영향
오재근, 신동원
Korean J Med Hist. 2023;32(1):203-239.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203
|
|
|
국외 의사학* 교육의 역사적 고찰 -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
여인석
Korean J Med Hist. 2023;32(1):175-201.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3.32.175
|
|
|
주민참여로 마을의 건강을: 1970-80년대 마을건강원 활동과 보건의료에서의 주민참여 논쟁
정다혜
Korean J Med Hist. 2022;31(3):793-837.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793
|
|
|
미군 제406의학종합연구소의 위상과 역할, 1946-1953
김태우
Korean J Med Hist. 2022;31(3):721-75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721
|
|
|
전문직의 젠더: 도쿄제국대학 부속병원으로 본 근대 일본 의사와 간호사의 위계
최자명
Korean J Med Hist. 2022;31(3):647-689.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647
|
|
|
미국 의료시스템과학 교육의 한국 도입과 그 비판
김택중
Korean J Med Hist. 2022;31(3):519-546.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519
|
|
|
의학교육에서 의료인문학의 가치: 의사학을 중심으로
권복규
Korean J Med Hist. 2022;31(3):495-517.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495
|
|
|
강해관 의학 검역의 형성: 1872∼1894년 ‘영국-상하이-조선’으로의 수용과 변용
진칭
Korean J Med Hist. 2022;31(1):129-18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129
|
|
|
17-8세기 조선의 임상 의학은 어떻게 이뤄졌을까† - 『역시만필』을 통해 살펴본 의관 이수기의 임상 의학-
오재근
Korean J Med Hist. 2022;31(1):1-3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2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2.31.1
|
|
|
최초의 ‘국내파’ 여성의사 안수경(安壽敬), 김영흥(金英興), 김해지(金海志) 연구
이영아
Korean J Med Hist. 2021;30(1):101-14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101
|
|
|
조선 후기 의학의 표면과 이면 - 의학 지식 체계를 중심으로 -
오준호
Korean J Med Hist. 2021;30(1):69-100.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1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1.30.69
|
|
|
미키 사카에의 연구와 생애를 통해 본 한일 의학 관계사
서기재
Korean J Med Hist. 2020;29(3):1065-110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1065
|
|
|
서양의학사 연구동향과 전망, 2011~2020: 연구주제의 확장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이현주
Korean J Med Hist. 2020;29(3):783-84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783
|
|
|
중국 의학사 연구동향과 전망 - 융합·소통을 통한 의학사 연구의 다원화 -
김대기
Korean J Med Hist. 2020;29(3):735-78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735
|
|
|
동아시아 의학사 연구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시론: 이분법의 서사 및 저편의 “전통”을 넘어서
이기복
Korean J Med Hist. 2020;29(2):569-611.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569
|
|
|
일본 의학사의 연구동향과 전망: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확대
김영수
Korean J Med Hist. 2020;29(2):465-501.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465
|
|
|
한국 근현대의료사의 연구동향과 전망 (2010-2019): 사회사적 관점의 부상과 민족주의적 이분법의 약화
박윤재
Korean J Med Hist. 2020;29(2):425-463.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425
|
|
|
한국 전근대의료사의 연구동향과 전망(2010-2019): 분야의 확장과 연구 방법의 다양화
김성수
Korean J Med Hist. 2020;29(2):371-423.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371
|
|
|
종교적 신화와 역사적 유산: 성 코스마스와 성 다미안은 어떻게 외과 의학의 수호성인이 되었나? - 「검은 다리의 기적」에서 21세기 이식의학까지 -
서종석
Korean J Med Hist. 2020;29(1):165-214.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0 DOI: https://doi.org/10.13081/kjmh.2020.29.165
|
|
|
동아시아 의서와 의료실천: 동의보감학파들을 통해 읽는 텍스트와 실천 그리고 동아시아의학 지식
김태우
Korean J Med Hist. 2019;28(2):591-62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591
|
|
|
“한민족의 뿌리”를 말하는 의사들: 의학 유전학과 한국인 기원론, 1975-1987
현재환
Korean J Med Hist. 2019;28(2):551-59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9 DOI: https://doi.org/10.13081/kjmh.2019.28.55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