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대 외과 질환의 종류와 처방: 간백(簡帛)에 보이는 외상, 화상, 장, 항문 관련 질환을 중심으로†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ypes of surgical diseases and treatments in ancient China as documented in bamboo and silk tex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external) injury, tetanus, burns, rectal and anal diseases, and inguinal hernias. For this analysis, I gathered 85 instances of disease and treatments recorded in these texts. The 85 cases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13 (external) injuries, 13 metal wounds, 6 tetanus, 22 burns, 16 rectal and anal diseases, and 15 inguinal hernia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eatment of (external) injury and burns focused primarily on the wound site, while the treatment of metal wounds and tetanus centered on addressing the internal body. Internal treatments were mainly prescribed through the use of medicine and food. Surgical intervention was recommended primarily for diseases of the rectum and anus, with medications applied to the woundspost-surgery. For inguinal hernias, a high-protein diet was typically prescribed. As we’ve seen, in ancient China, surgical diseases were mainly treated with medication, surgery, and dietary prescriptions. And among these prescriptions, drug prescriptions were utilized not only by medical doctors but also by witch–doctors[巫醫] treating diseases in civilian society and soldiers stationed at frontline military posts. In the absence of medical doctors in both civilian society and frontline units, witch–doctors and frontline units purchased or stockpiled prescription drugs and used them to treat patients according to prescription.
색인어: 간백(簡帛), 외상, 화상, 장(腸) 질환, 항문 질환
Keywords: bamboo and silk texts, external injuries, burns, rectal and anal diseases
1. 머리말
진한시대에는 오늘날의 의료와 건강, 그리고 신선이라는 범주를 합쳐 ‘방기(方技)’라고 불렀다. 1) 당시 알려진 한대의 모든 의학 관련 서적을 정리한 『한서』 예문지 방기략에서는 868권의 광의의 의학 관련 서적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 서적들은 다시 병의 진단을 다룬 의경(醫經), 처방을 다룬 경방(經方), 그리고 넓은 의미의 건강법을 의미하는 방중(房中)과 신선(神僊)의 4가지 범주로 분류되어 있다. 2) 이 가운데 방중술과 방사(方士)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신선술을 넓은 의미의 건강법으로 보아 제외하면, 3) 당시 사람들은 의료 활동을 두 가지 측면, 즉 진단을 의미하는 ‘의(醫)’와 처방을 의미하는 ‘방(方)’으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4) 지금까지 출토, 정리된 의료 관련 간백(簡帛) 문헌들 역시 진료[醫]와 처방[方]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실례로 마왕퇴(馬王堆)에서 출토된 간백 자료 중 진단 방법을 서술하고 있는 「맥법(脈法)」, 「음양맥사후(陰陽脈死候)」 등은 의류(醫類)로, 병의 처방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오십이병방(五十二病方)」, 「양생방(養生方)」, 「잡요방(雜療方)」, 「잡금방(雜禁方)」은 방류(方類)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5)
그리고 지금까지 출토된 간백에 나타난 의료 관련 자료들을 살펴보면, 전국·진한시대를 거치면서 진맥과 인체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경락(經絡) 학설이 진단[醫] 방법으로 정립되고( 周一謀, 2000; 31-79; 李建民, 2008: 21-74; 林伯欣, 2013: 243-273), 내치법과 외치법이 치료 방법[方]으로 정착되기 시작하면서( 龐境怡·張如青, 2015) 중국 고대 의학은 인체의 안과 밖을 치료하기 위한 이론적, 실질적 체계를 갖추어 나갔다. 전국·진한시기를 거치면서 의료활동이 진단으로서의 ‘의’와 처방으로서의 ‘방’으로 정립되었음을 살펴보았지만, 그렇다면, 이 가운데 고대 중국에서 질병에 대한 처방이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산해경(山海經)』이나 『이소(離騷)』 등과 같은 저작에는 일부 약재가 기록되어 있지만 질병에 대한 처방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6) 『한서』 예문지에 실린 처방[經方]을 기록한 11책도 모두 전해지지 않는다. 7) 이 때문에, 『황제내경』에 실린 12개의 처방이 질병과 처방을 함께 기록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저작으로 알려져 왔다( 周一謀, 2000: 212-218). 그렇지만, 간백(簡帛) 자료들이 출토되면서 전국시대 중기로 추정되는 간백들에서 이미 질병 관련 서술이 나타나고, 8) 전국시대 중·말기에서 진(秦)으로 그 시대가 추정되는 『청화대학장전국죽간(淸華大學藏戰國竹簡)』 「병방」, 9) 주가대진간(周家臺秦簡) 「병방」, 이야진간(里耶秦簡) 「의방」 등에서 질병에 대한 처방이 나타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10) 그리고, 이들 간백 자료에 보이는 질병과 처방을 통해 실전된 『한서』 예문지에 실린 처방 관련 11책의 내용도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게 되었고, 이와 함께 지금까지 출토, 간행된 의료 관련 간백을 통해 상당수의 질병과 처방을 알 수 있게 되었다. 11)
간백에 보이는 처방 가운데 이 글에서는 외과 질환 처방 중에서도 우선 외상, 화상, 장(腸), 항문 관련 처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12) 필자가 간백에 보이는 처방 중에서 우선 외과 관련 처방을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는 한대 내과 질환의 진단과 처방에 대해서는 『사기』 편작창공열전에 실린 순우의(淳于意)의 처방을 통해 그 일단을 엿볼 수 있지만( 김부환 외, 1995: 1-23), 간백에 실린 질병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외과 계열 질환에 대해서는 기존 문헌 자료를 통해서는 알 수 있는 부분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간백에 보이는 외과 관련 질환을 다룬 글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백에 보이는 질병과 처방 전체를 대상으로 관련 자료를 모아 주를 달거나( 張雷, 2019), 질병별로 분류하고 분석한 저서들이 간행되었다( 熊益亮, 2021; 周一謀, 2000: 100-122). 이 저서들은 이 분야 연구에 큰 도움을 주고 있지만, 간백에 보이는 질병과 처방 전체를 한정된 지면에 서술하여 질병에 대한 처방이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간백에 보이는 외과 질환만을 전문적으로 다룬 연구 논문들이 나타나고 있다. 전국·진한시기 외과와 골상(骨傷) 관련 질병에 대한 간백 자료의 출토와 연구 정황을 정리한 연구( 龐境怡·張如青, 2014: 55-58), 간백자료에 보이는 외과학 발전의 배경을 전쟁과 경제 여건의 진전으로 설명하고, 치료적인 측면에서 외치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반면에 내치법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는 것과 함께, 축유(祝由) 처방의 비중이 시대의 진전과 함께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남을 지적한 연구( 龐境怡·張如青, 2015: 2604-2607), 외과 방면의 성취를 병증의 종류와 치료 요법으로 나누어 정리한 연구( 龐境怡·張如青, 2018: 1031-1033), 간백에 보이는 외과 질병의 명명 방식과 질병의 특징을 정리한 연구( 薛含麗 등, 2022a: 69-72), 간백에 보이는 외과 처방을 창양(瘡瘍), 체외창양(體外創傷), 벌레·짐승 물림, 항문·장·생식기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이 가운데 외치법과 관련된 107개의 처방을 분류하여 정리한 연구( 薛含麗 등, 2022b: 214-218) 등이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를 통해 외과 처방에 대한 분류와 치료법 등이 연구되었지만, 이들 연구는 그 내용이 비교적 소략하여 처방의 종류, 처방에 사용되는 약재, 약재의 가공 방법, 약물 형태, 치료 방법, 용법·용량 등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보충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와 함께 최근 『천회의간』이 새로 발표되어 자료적인 측면에서도 처방 내용을 보충할 필요가 생겼다.
그렇다면 이 글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간백에 실린 외과 관련 질병의 처방에는 어떤 내용이 기록되어 있을까?
① [1] 칼, 창과 같은 금속류에 의해 상처를 입었는데, 통증이 없게 하려면, [2] 마르고 익은 겨자씨[乾實]를 취하여 검게 그을린 다음 갈아 분말로 만들어 1푼(份)을 만든다. 삽주[朮: Atractylodes japonica]의 뿌리를 갈아 분말로 만들어 2푼을 만든다. 2가지 약물을 배합한다. [3] 손가락 3개[엄지, 검지, 중지]의 첫 번째 마디만큼의 분량만큼 집은 다음, 순주(醇酒)를 중간 크기의 잔에 채우고 약을 그 안에 넣은 다음 잘 저어 마신다. 술을 마시지 않은 사람은 술을 반만 사용하라. [4] 마시고 나면 얼마 있지 않아 통증이 사라진다. 다시 통증이 시작되면 약을 마시는 것을 수 차례 이와 같이 하라. 통증이 사라지면 약을 마시지 마라. [5] 약을 마시는 것은 식사 전, 식사 후 마음대로 하라. 병을 치료할 때는 물고기, 돼지고기, 말고기, 날아다니는 새와 벌레, 자극적인 향과 맛을 가진 채소[葷: 생강, 마늘 등], 마수채(麻洙菜)를 먹지 말고, 여자를 가까이하지 말아라. 병이 나으면 옛날과 같은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병을 치료하는 것은 정해진 때가 없다. [6] 한 번 치료약을 만들면(그 양이) 전체 치료 과정의 필요를 충족시켜야 한다. [7] 약을 사용한 치료가 끝났으면 비단[繒]에 싸서 보관해야 한다. [8] 삽주[朮]를 손질할 때는 햇볕에 쬐어 말려 잘게 부셔야 한다.13)
② [1] 외상을 입어 경병(痙病)의 증상이 나타나면, [2] 물로 적당량의 자두[李實]를 삶는다. 끓으면 (내용물을) 떠내 그 즙을 걸러낸다. [3] 적당할 때까지 식힌 후 환자에게 마시게 하고 마실 때는 ……을 사용한다. 환자의 병이 위중하여 (즙을) 마실 수 없으면 강제로 환자의 입을 열어 즙을 주입한다. [4] 만일 자두가 없다면……을 삶아서 그 즙을 마시게 하는데 자두즙과 같은 양이다. [5] 이 치료법에는 금기가 없다. [6] 이 처방은 이미 시험을 거쳤다. [7] (이 처방은) 효과가 확실하다.14)
위의 인용문 ①은 「오십이병방」에 기재된 칼, 창과 같은 금속류에 의한 외상에 대한 처방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간백 관련 처방 가운데 가장 상세한 것이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1]에서 [7]까지 순서대로 질병의 종류, 약물 가공 방법, 복약 방법과 양, 복약 효과, 복약 시 주의 사항, 약의 제조 분량, 사용 후 약물 보관 방법, 약재 제조 방법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② 역시 「오십이병방」에 기재된 경병 치료 처방으로 [1]에서 [5]까지 질병의 종류, 약물 가공 방법, 약물 복용 방법, 대체 약재, 복약시의 주의 사항이 기재되어 있고, 이와 함께 ①에는 없는 처방의 시험 여부[6], 처방의 효과[7] 등이 기재되어 있다. 두 처방전을 통해 간백에 보이는 중국 고대 처방의 주요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이 글에서 말하는 중국 고대라는 시간의 범위와 이용 자료에 대해 언급해 두고자 한다. 질병과 그 질병에 대한 처방이 간백에 처음으로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청화대학장전국죽간, 주가대진간, 이야진간 등이며, 그 시기는 전국시기 중·말기로 비정된다. 그리고 간백에 기록된 질병과 처방에 대한 기록은 마왕퇴 출토 의료 관련 간백, 무위한간, 돈황한간, 거연한간 등의 의료 관련 기록들로 이어지는데, 이 간백 자료들은 그 시기가 진말에서 후한시대까지로 비정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 고대의 외과 질환 가운데 외상, 화상, 장(腸), 항문 질환을 다룬 이 글에서는 이야진간, 마왕퇴 출토 「오십이병방」, 거연한간, 돈황한간, 『무위한대의간』, 천회의간을 자료로 사용하였다. 15)
2. 외상의 병증과 처방
출토 간백 자료에 나타나는 외상 관련 질병은 크게 일반 외상, 병장기(칼, 창, 활 등)에 의한 외상[金瘡], 그리고 경병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먼저 일반 외상은 「오십이병방」에서는 ‘여러 가지 외상[諸傷]’이라는 표제어를 달고 있으며, 돈황한간에도 외상에 대한 처방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면 이들 처방을 살펴보자.
1) 일반 외상
① 외상 지혈: 피가 흐르는 것을 멈추게 하려면 사람의 머리카락을 태운 다음 상처에 대고 (그 재를) 가지고 눌러라. 16)
② 외상 소독: 황금(黃芩,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과 ……을 갈아서 가루로 만든 것과 …… 돼지기름을 달여서 ……하고, 베로 짜서……(환부를) 씻어낸다. 17)
③ 외상 후 통증: 여러 가지 원인으로 외상이 생기고 바람이 상처에 들어가 상처에 옹(癰)과 통증이 생긴 경우의 치료법: 삼베로 싸고……상처와 옹이 생긴 곳에, ……로 적시고……돼지기름을 넣어 즙을 졸인다, ……에 두어 적시고, 자주 부어야 하며, 기름을 붓기를 끊어지지 않게 하여 한기를 거둬들여야 하고, ……명반……, 상처 구멍에 바른 다음 위를 막는다. 쉬도록 하여 회복하게 하고 ……[옹]……. 약을 바르는 것은 식사 전, 식사 후 마음대로 하라. 금기는 없고, 때에 대한 금지도 없다. ……백반(白礬) 햇볕에 노출하지 말고 ……모두 들여라. 18)
④ 외상: ……기름[膏], 감초 각 2, 계피, 생강, 촉초(蜀椒, Pericarpium Zanth oxyli), 산수유를 ……하여, 환약을 잘게 부순 후 술 한 잔에 넣고 마신다. 매일 한 번 복용하라. 19)
⑤ 오래 낫지 않은 외상: 오래된 외상은 살구씨의 알맹이를 분쇄하여 점성이 있는 기름[膱膏 20)]과 섞어 21) 상처에 봉하면 상처 안의 벌레가 나온다. 이 처방은 이미 시험을 거쳤다. 22)
⑥ 외상 흉터 제거: 남자의 계(洎, 콧물 혹은 정액) 23)를 상처에 바르면 모든 흉터가 남지 않는다. 24)
위의 예문들에 나타난 것처럼, 외상에 대한 처방으로는 지혈, 소독, 통증, 일반적인 외상치료, 오래 낫지 않는 외상치료, 외상 흉터 제거 처방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간백에 보이는 외상 처방 중 하퇴 외상은 일반적인 외상과 분류하여 처방을 별도로 기록하고 있다.
하퇴 외상25)이 생기면 구뇨중니[久溺中泥=人中白, 사람 소변 결정 고형물]26)를 취하여 그 속에서 풀, 티끌[蔡],27) 모래, 돌을 잘 골라내어 제거하고, 토기 안에 두고, 아침에 고타(苦唾, 침 혹은 식초)28)를 그 끝 모서리에 ……한다. 기물 안의 구뇨중니를 상처에 바르고, 그것을 ……하면, 상처가 낫는다. 이미 사용하여 보았다.29)
하퇴는 외상을 입기 쉽고 또 경골연에서는 피하에 골이 접해 피부 혈행도 부족하기 때문에 궤양이 발생하기 쉬운데, 대부분은 자연 치유되나 혈행장애 등이 있으면 난치성 궤양이 발생하기 쉽다. 일단 난치성이 되면 궤양 주변의 소동맥에는 2차성의 폐색성 내막염이 생겨 더욱 혈행은 부족하게 되어 치료가 어렵게 되기 쉽다( 대한간호학회, 1996: 1798). 당시에도 하퇴외상이 일반 외상과 달리 치료가 어려운 병증이라는 인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돈황한간』에는 마차나 말에서 떨어진 낙상 처방이 1건 기록되어 있다.
다리가 차가운 상태에서 수레나 말을 타다가 놀라 떨어져, 피가 가슴 속에 뭉쳐 있는 경우 (이 병증에 대한) 혜군(惠君)의 처방과 같이 하라. (약을) 복용한 지 20일이 되면 …이 내려가기 시작하고. 30일이 되면 배 속에 피가 고인 것이 없어지게 되고, 가슴 속에 다시 (피가) 고이지 않으며, 손과 발의 통증과 부기도 사라져 통하게 된다.30) 신(臣) 안국(安國).31)
위에서 외상을 외상, 하퇴외상, 낙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 병에 대한 전체 처방들을 표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표를 보면 우선 외상을 입은 직후 소독에는 상처를 씻어내는(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지혈과 통증의 제거에는 사람의 머리카락과 해진 부들로 만든 자리를 태워 재로 만든 다음 상처에 두드리거나[安(按)] 바르는(傅, 敷)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 외상 치료 방법으로는 4가지 처방이 보이는데, 우선 환약을 만들어 복용하는 방법이 2회 사용되고 있다. 환약을 복용할 때는 환약을 부숴 술 한 잔 내지 따뜻한 술에 넣어 마시게 하고 있다. 또한 말린고기와 팥을 즙으로 만들어 복용하게 하는 방법이 1회 사용되고 있고, 속단의 뿌리 한 줌, 독□(獨□), 황금, 감초, 가을 오두를 가루로 만들어 바르게 하는 방법이 1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처방을 종합할 때 외상의 치료에는 내복과 외치 요법을 동시에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위의 < 표 1>에 보이는 ④번 처방은 『천금방(千金方)』 중의 당귀산(當歸散)이나 내보산(内補散) 처방과 유사하다.
위의 표를 보면, 「오십이병방」에 보이는 감초, 계, 생강, 산초, 수유로 이루어진 외상 처방을 기초로 『천금방』에 보이는 당귀산과 내보산의 처방이 발전해 갔음을 추론할 수 있다. 당귀산은 「오십이병방」의 처방에 당귀, 부자, 택란(澤蘭), 궁궁을 첨가하여 외상치료제로 삼고 있고, 내보산은 「오십이병방」에 들어간 외상 처방 약재에 종용, 작약, 당귀, 궁궁, 황금, 인삼, 후박, 백급(白及), 황기를 추가하여 금창 처방을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천금방』에 보이는 당귀산, 내보산 처방은 「오십이병방」의 외상 처방이 발전하여 성립했음을 추론해 볼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알약도 가루약의 형태로 변화해 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오래 낫지 않은 외상과 외상 흉터 치료에는 남자계와 같이 원래 겔 상태의 물질이나 □연(□衍)과 같은 물질에 돼지기름을 첨가하여 겔 상태로 만들어 바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퇴외상에는 구뇨중니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하퇴의 상처가 오래되어 악창[癰]이 생기고, 악창이 문드러져 진물이 나오는 오래 낫지 않는 하퇴 외상 처방으로는 강황과 출(朮) 등을 탕 안에 넣고 탕 안에 발을 담구게 하여 악창을 없애고 새살을 돋게 하는 치료법이 제시되어 있다.
약물 가공 방법으로는 갈기[冶]가 5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음으로는 굽기[燔] 3회, 익히기[熟] 2회, 달이기[煎] 3회, 삶기[煮] 1회, 분쇄[齏] 1회, 섞기[弁] 1회, 혼합[和] 1회의 순서대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약물 가루를 겔 상태로 만들기 위한 보조 재료로는 돼지기름[彘膏]이 2회, 점성이 있는 기름[膱膏]이 1회 사용되고 있다.
약물의 용법, 용량은 두 번 제시되고 있다. 그 하나는 외상에 대한 처방 중 환약을 깨서 술 한 잔에 넣은 다음 하루 한 번 마실 것을 지정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오래 낫지 않은 하퇴외상 치료에서 약재 가루를 푼 물에 발을 담그는 처방에는 어떤 제한도 없다고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오래 낫지 않은 외상 처방에서 ‘시험 완료[嘗試]’라고 표현하거나, 하퇴외상 처방에서 “이미 사용되었다[已用]”라고 하고 있는 표현은 이들 처방이 이미 임상에서 사용되었고, 그 효과가 확실함을 알리기 위해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래 낫지 않은 하퇴외상 처방에 보이는 “효과가 좋다[令]”라는 표현은 「오십이병방」 전체에서 효과가 좋은 처방에 대한 관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낙상에 대한 처방에서 20일 복용하면 뭉친 피가 내려가고, 30일 복용하면 완치된다고 하여 처방의 효과를 기록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이렇게 당시의 처방들이 해당 처방의 시험 여부, 처방의 효과, 처방 이후 환자의 경과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처방들이 충분한 임상 관찰을 통해 기록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기술들은 해당 처방에 대해 신뢰를 부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금창(병장기에 의한 외상)
병장기에 의한 외상 처방으로는 병장기에 의한 외상[금창(金瘡)], 금창 통증을 없애는 처방, 금창으로 어혈이 생겼을 때의 처방, 금창으로 탈장이 생겼을 때의 처방, 화살을 뽑을 때의 처방이 기재되어 있다.
각 병증에 대한 대표적인 처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병장기에 의한 외상[금창] 처방: 석□을 잘게 부수어 순주(淳酒)에 담갔다가 전병(煎餠)을 만들고, 기와로 만든 용가마[鬵]에서 말린다. 숯으로 …… 다시 갈아서 분말로 만든다. (다시, 순주에 담갔다가) 전병을 만들고, 이전과 같이 굽는다. 갈아 분말을 만든 다음 ‘손가락 3개[엄지, 검지, 중지]로 집을 수 있는 만큼의 분량[三指撮]’을 따뜻한 술 반 잔에 넣고 …… 통증과 베임[斬]이 많은 사람은 100을 갈아 분말로 만들고, 깊이 (베인) 사람은 80, 작은 사람은 40이다.44)
② 금창 통증을 없애는 처방: 금창 통증을 멈추기 위해서는 석고(石膏, gypsum)45) 1푼(分), 생강 2푼, 감초46) 1푼, 계 1푼 등 모두 4가지 재료를 모두 갈아 분말로 만들어 혼합한다. 1방촌비(方寸匕) 분량을 희석한 식초[酢漿]와 함께 마시게 한다. 낮에 2번, 저녁에 1번 복용한다. 효과가 매우 좋다. (외부에) 알리지 마라.47)
③ 금창으로 어혈이 생겼을 때의 처방: 금창을 당해 혈관에서 흘러나온 피가 체내에 싸여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황단48) 2푼, 증청 2푼, 소석[消石, Nitrokalite] 2푼, 자충(䗪蟲)49) 3푼, 등에50) 머리 2푼 등 모두 다섯 가지 재료를 모두 갈아 분말로 만들어 혼합한 다음, 1방촌비의 분량을 술과 함께 마시게 한다. 2번 마시기 이전에 어혈이 흘러나온다. 그렇지 않으면 대변으로 배출된다.51)
④ 금창으로 탈장이 일어났을 때의 처방: 금창으로 장이 나온 경우 용골52)을 갈아서 분말로 만든 다음 손가락 3개[엄지, 검지, 중지]로 집을 수 있는 만큼 집어 시즙(豉汁, 콩 발효물 희석 음료)과 함께 마신다. 낮에 2, 3차례 마시면, 장이 저절로 들어간다. 매우 (효과가) 좋다[大良]. (외부에) 알리지 말아라.53)
⑤ 화살을 뽑을 때의 처방: ……1푼(分), 괄루(栝樓)54) 4푼, 역미(眯) 4푼, 맥장구(麥丈句)55) 3푼, 후박(厚樸; 원문에는 厚付로 표기)56) 3푼을 모두 합하여 섞은 다음, 방촌비 하나 분량의 약을 술잔에 넣어 마시게 하고 화살을 뽑는다.57)
위의 예문을 통해 금창의 대표적인 처방들을 살펴보았지만, 지금까지 발표된 간백자료에는 금창 처방 4건, 금창 통증을 없애는 처방 5건, 금창으로 어혈이 생겼을 때의 처방 1건, 금창으로 탈장이 일어났을 때의 처방 2건, 화살을 뽑을 때의 처방 1건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처방 가운데 거연한간에 보이는 인용문 ⑤의 화살을 뽑을 때의 처방은 당시 의사가 부상 사졸을 직접 치료한 처방이 아니라 당시 거연이라는 변방 지역의 사졸들이 전투 중 화살에 맞아 다쳤을 경우 이를 시급히 치료하기 위해 의서에서 의도적으로 베껴 쓴 처방이라는 견해가 제기되었다(劉金華, 2005). 이는 병장기에 관련된 처방들이 병사들이 사용하기 위하여 일선 부대에 보급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 견해를 따른다면 『무위한간』에 들어있는 인용문 ④ 가운데 “(외부에) 알리지 말아라.”라는 구절에서 알리지 말아야 대상은 적이나 외국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병장기에 의한 외상에 대한 처방 전체를 간략표로 만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의 금창 치료에 사용된 처방은 모두 합해 13종류이지만, ④의 『천회의간』 처방은 하나의 처방 안에 복용 1회, 붙이기 2회, 훈증 1회 등 모두 4가지의 처방이 들어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발견된 금창치료 처방은 16종류이다.
위의 금창 치료에 사용된 약물들을 종류별로 구분하면 아래 표와 같다.
위의 표에 나타난 것처럼, 금창 외상 치료에는 식물류 13종, 동물류 5종, 곤충류 2종, 광물류 3종, 보조재료 4종, 기타 4종, 모두 합해서 31종의 약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들 약재는 갈기[冶] 10회, 혼합[和] 6회, 굽기[燔] 3회, 볶기[熬] 2회, 말리기[乾] 1회, 문지르기[磨] 1회, 익히기[熟] 1회, 섞기[撓] 1회, 달이기[煎] 1회, 분쇄[齏] 1회, 적시기[漬] 1회, 햇볕에 말리기[曝] 1회, 불에 말리기[煏] 1회의 방법을 통해 가공되고 있다. 이렇게 가공된 31종의 약재는 16종류의 금창 치료 처방에서 13회는 가루로 사용되고, 3회는 동물성 기름과 혼합되어 겔 상태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가루로 만든 약재를 겔 상태로 만들어 상처에 바르거나 붙이기 위하여 돼지의 생 기름[彘生膏] 1회, 양의 졸인 기름[羊煎脂] 1회, 지방[肪膏] 1회를 사용하고 있다. 「오십이병방」에서는 소, 양 등 뿔이 있는 동물의 기름을 고지(羖脂, 양기름), 우지(牛脂, 소기름) 등과 같이 ‘지(脂)’라고 부르고, 돼지 등 뿔이 없는 동물의 기름을 시고(豕膏), 체고(彘膏) 등과 같이 ‘고(膏)’라고 부르고 있다( 李鍾文, 1980). 금창 처방을 다룬 『천회의간』 내용 중에 “돼지기름[彘膏]을 사용하지 말고 양의 달인 기름[脂]을 사용하라” 67)와 같은 구절이 있는 것을 보면 기름과 약물의 조화 역시 고려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가공된 약물들은 복용 11회, 바르거나 붙이기 3회, 훈증 1회의 빈도로 사용되고 있다. 앞서 살펴본 일반 외상 처방에서 바르는 처방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과 달리 금창 처방에서는 가루약[散制]을 복용하는 사례가 가장 많다는 사실(16 처방 중 11차례)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탕액이 중심일 것이라고 생각되는 중국 고대 약물 처방에 대한 인식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당시 사람들이 일반 외상과 달리 금창 치료는 외적인 치료가 아니라 내적 치료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금창 치료에 사용된 처방의 가루약 투입 단위와 가루약을 복용할 때 같이 복용하는 보조재료를 표로 정리하였다.
위의 표를 보면, 다른 질병에 대한 처방과 달리 금창 치료 처방에는 비교적 정확한 가루약 투입 분량이 제시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9개의 처방 가운데 삼지촬이 4회, 도규가 2회, 방촌비가 3회 나타나고 있다. 삼지촬은 손가락 3개 [엄지, 검지, 중지]로 집을 수 있는 만큼의 분량을 말하며, 1방촌비(方寸匕)는 가로 2.3㎝×세로 2.3㎝의 숟가락 위에 올릴 수 있는 계량 단위로 그 무게는 약재에 따라 다르다. 68) 1도규(刀圭)는 1방촌비의 10분의 1 이하로 이야기하고 있다 .69)
또한, 위의 표를 보면, 가루약[산제] 투입 분량을 정하는 데 있어서 「오십이병방」, 이야진간 의방에서는 도규나 방촌비를 약의 용량 단위로 사용하지 않고 주로 삼지촬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자료가 적어서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무위한대의간』에서는 삼지촬과 도규, 방촌비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고, 거연한 간 의방에서는 방촌비만을, 천회의간에서는 도규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삼지촬을 사용하고 있는 오십이병방과 이야진간이 가장 시대가 빠르고, 삼지촬과 도규, 방촌비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무위한대의간』이 두 번째, 도규만을 사용하는 천회의간과 방촌비만을 사용하는 거연한간이 시대가 가장 늦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약물 측정의 진보를 말해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赤堀昭, 1978: 95).
또한, 가루약 복용시에는 보조재료와 함께 마시도록 하고 있는데, 술이 7회[술 4회, 따뜻한 술 3회, 순주 1회]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시즙이 2회, 식초로 만든 음료[酢漿]가 1회 사용되고 있다. 사용 목적은 통증 감각의 완화와 함께 일부 약재에 대한 소독의 효과도 기대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처방의 효과를 말할 때, 「오십이병방」에서는 “이 처방은 효과가 좋다(令)”라는 구절을 사용하고 있는 데 반해, 동일한 표현을 『무위한대의간』에서는 “크게 좋다[大良]”를 사용하고 있는 것도 지적해 둘 필요가 있다.
3) 경병(痙病) 처방
지금까지 출토된 간백에 보이는 질병에 대한 처방 중에는 ‘상경(傷痙)’ 내지 ‘경(痙)’이라는 병증에 대한 처방이 있으며, 이들 병증에 대한 처방들은 2절에서 살펴본 병장기에 의한 금창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간백에서 ‘상경’ 내지 ‘경’으로 표현된 병의 대표적인 처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경병: 경병 70)이라는 것은 상처가 났는데 바람이 상처에 들어가 몸을 펼 수는 있는데, 굽힐 수는 없게 된 것이다. 이를 치료하려면 소금을 볶아 노릇하게 하여 한 말을 취하여 베로 싸서 순주에 넣었다가 바로 빼서 폐슬[市(韍)]로 덮어 머리에 찜질한다. 너무 뜨거우면 떼고, 적절하게 (온도가) 내려가면 (찜질한다). □을 하여 싸서 다시 찜질한다. 찜질하다가 차가워지면 다시 소금을 볶아 찜질한다. 찜질은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 찜질을 하면 찬 기운과 땀이 배출되는데, 땀이 많이 배출되어 굽히고, 펼 수 있게 되면 그쳐라. 찜질할 때 찜질이 끝난 후 4일 안에는 □□을 입고, 바람을 맞지 말아라. 4일이 지나면 외출해도 된다. 찜질은 식전 식후를 막론하고 모두 가능하며 어떠한 금기도 없으며 어떠한 계절에도 제한되지 않는다. 이 처방은 효험이 좋다. 71)
② 외상을 입어 경병의 증상이 나타나면, 물로 적당량의 자두[李實] 72)를 삶다가 끓으면 (내용물을) 떠내 그 즙을 걸러낸다. 적당할 때까지 식힌 후 환자에게 마시게 하고 마실 때는 ……을 사용한다. 환자의 병이 위중하여 (즙을) 마실 수 없으면 강제로 환자의 입을 열어 즙을 주입한다. 만일 자두가 없다면 ……을 삶아서 그 즙을 마시게 하는데 자두즙과 같은 양이다. 이 치료법에는 금기가 없다. 이 처방은 이미 시험을 거쳤다. (이 처방은) 효과가 좋다. 73)
③ 외상을 입어 경병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개 한 마리를 작은 덩어리로 잘라 누룩[糱] 0.5두와 끓이는데[漰?], 그 다리를 제거하지 않고 □과 함께 채워 넣는다. 우물에 담갔다가 ……꺼내어, 100일을 그늘에서 말린다. 경병(痙病)의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이 생기면 갈아서 분말로 만들어 삼지촬의 분량을 따뜻한 술 한 잔에 타서 마시게 한다 74)
④ 금창으로 내부에 경병 75)이 생겨 상처는 가렵지만 통증이 없으면서 배가 부풀어 오르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 황금(黃芩). 76)
이 병증에 대해서는 『황제내경』 「소문」 궐론(厥論), 『금궤요략방론(金匱要略方論)』 치습갈병맥증(痓濕暍病脈證) 등에 설명이 있고, 77) 특히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금창중풍경후(金瘡中風痙候)에서는 이 질병의 원인과 환자의 상태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무릇 금창으로 인한 경병은 혈맥이 고갈되어, 음식을 먹어도 기운을 회복하지 못하고, 양기와 음기가 채워지지 않아 영위(榮衛, 동맥과 정맥의 피, 혈액과 생기)가 뚫려, 바람의 기운이 침투하여, 오장에 한기[寒邪]를 받게 되어 경병에 걸리는 것이다. 병자의 모습은 입이 당기고 등이 뻣뻣해지며, 머리를 흔드는 것이 마치 말이 우는 것 같으며, (경련이 일어나) 허리가 뒤로 젖혀진다. 순식간에 열 번도 발작하고, 호흡이 끊어진 듯하며, 땀이 비처럼 쏟아진다. 시급하게 구하지 않으면 다 죽는다. 78)
간백에 나타난 병증과 역대 의서들의 진단을 볼 때 이 병을 대체로 파상풍류의 병으로 보는 것 같다. 79) 그런데, 위의 인용문 ① 「오십이병방」에서는 경병의 원인을 “상처가 났는데 바람이 상처에 들어가 몸을 펼 수는 있는데 굽힐 수는 없게 된 것이다.”라고 하고 있고, 위에서 인용한 『제병원후론』에서도 “바람의 기운이 침투하여, 오장에 한기[寒邪]를 받게 되면 경병에 걸린다.”라고 하여 경병의 근본 원인을 바람에 돌리고 있다. 만일 이 병이 파상풍류의 질병이라면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이 1884년에 발견되고 1889년에 균이 배양된 것을 고려할 때, 고대 중국인들이 세균 등과 같이 볼 수 없었던 외부 요소의 침입을 ‘바람’이라고 표현한 것은 상당히 흥미롭다. 『황제내경』를 포함한 고대 의약 관련 문헌에서는 볼 수 없지만 외부로부터 들어온다고 당시 사람들이 생각했던 경병을 포함하여 수많은 병의 원인을 바람에 돌리고 있다. 80)
간백에 보이는 경병 관련 모든 처방을 간략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의 표에 나타난 것처럼 경병(痙病: 파상풍)의 치료에는 감초, 개[犬], 누룩[糱], 소금[鹽], 염교[薤], 자두[李實], 황금이 약물로 사용되고 있다. 보조재료로는 돼지기름 1회, 따뜻한 술 1회, 순주 2회가 사용되고 있다.
약물 가공 방법으로는 갈기[冶]가 2회, 거르기[浚] 1회, 그늘에서 말리기[陰乾] 1회, 끓이기 2회(漰, 沸), 담그기[漬] 1회, 볶기[熬] 1회, 삶기[煮] 2회, 졸이기[煎] 1회가 사용되고 있다.
가루로 가공된 약물은 6가지 처방 중 3차례인데, 머리에 찜질하는데 1회 사용되고, 술에 타 복용하는데 2회 사용되고 있다. 1회는 즙으로 만들어 복용하게 하고 있다. 나머지 1회는 돼지기름과 섞어 겔 상태로 만들어 바르는데 사용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부위는 판독이 어려운 형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경병(파상풍)의 치료에도 상처 부위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보다는 볶은 소금으로 머리를 찜질하거나 가루약을 술에 타 복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경병에 대한 치료는 상처 부위를 직접 치료한다기보다는 약의 복용이나 머리에 대한 찜질을 통해 치료를 시도했다는 점, 즉 신체 내부에 대한 치료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일반 외상에 대한 치료보다는 금창에 대한 치료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3. 화상·탕상 관련 처방
간백자료에 나타나는 화상치료 처방은 화상·탕상 치료, 화상 흉터 제거, 하퇴 화상 처방으로 나눌 수 있다.
1) 화상·탕상 치료 처방
이제까지 화상·탕상 치료 처방은 12개가 발견되었다. 그러면, 이들 처방 중 대표적인 처방을 살펴보자.
① 화상83)을 입은 경우의 처방: 사람 머리의 때[人泥] 84)를 상처에 바르고, 개털이나 양털로 상처를 봉한다. 낫지 않으면, 다시 이 방법을 수차례 반복한다. …… 85)
② 화상을 입은 경우 얼미(蘖米) 86)를 으깨어 즙을 짜낸 다음 달여서 아교와 비슷한 상태로 만들고, 후박 87)을 갈아 분말로 만든다. 양자를 혼합한 후 (환부에) 바른다. 88)
③ 충분한 양 89)의 조[黃米: Setaria italica] 90)를 삶아 바로 걸러서 볶아 재로 만들어 여러 날 동안 환부에 바른다. 마르면 만들어 놓은 즙을 섞어 준다. 91)
④ 뜨거운 물 92)로 돼지똥을 볶아, 식초에 담갔다가 상처를 봉한다. 93)
⑤ 탕상을 치료하는 방법. 서미(黍米) 4두(斗)를 취하여 잘 불을 때 밥을 짓는다. 찌되 익히지는 말아라. 2명의 남자 영아와 2명의 여자 영아를 시켜 씹어, 그릇에 넣게 한 다음 물 4말을 붓고, 휘저어, 그 즙을 취하여 4승(升)의 솥 안에 넣는다. 남은 즙들을 더 넣고, 4승 남짓에 이를 때까지 불을 땐다. 그 즙을 건져 마신다. 다 마셨으면 (병자를) 눕힌 다음 사람을 시켜 신체 중 쓸 수 없는 곳을 안마하게 한다. 94)
화상[燒傷] 치료 처방을 정리한 위의 표를 보면, 화상에 사용하는 약재는 후박(Officinal Magnolia)밖에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신농본초경』에는 후박의 화상 치료에 대한 약효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화상치료에 사용되는 다른 재료로는 사람 머리 때[人泥] 1회, 여자월경포 1회, 돼지똥 2회, 개털 1회, 양털 1회, 토끼털 1회가 사용되고 있다. 화상 치료에서 사람의 머리카락과 짐승 털이 중요 약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곡식으로는 얼미(2)와 조(1), 서(1)가 사용되었다. 그 밖에 젖(1), 헤진 갈옷[敝褐], 짠 맛 흙[鹵土]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돼지똥을 화상치료제로 쓸 경우 보조재료로써 식초 1회, 술 1회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 사람들이 돼지똥에 의한 감염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고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돼지똥을 볶아서 사용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해서 술과 식초를 사용하여 감염 가능성을 차단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재료 가공방법으로는 굽기[燔] 2회, 찧기[擣] 1회, 익히기[熟] 1회, 갈기[冶] 2회, 볶기[熬] 3회, 삶기[煮] 1회, 달이기[煎] 1회, 거르기[浚] 1회, 찌기[蒸] 1회, 불 때 밥 짓기[炊] 1회, 찌기[饙] 1회, 씹기[嚼] 1회가 사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천회의간에 보이는 씹기[嚼] 1회는 남, 녀 영아 2명씩을 시켜 찐 조[서미]를 입에 넣어 씹도록 한 방식으로 침의 약효를 의도했는가는 알 수 없다.
가공된 약물은 바르기[傅] 7회, 봉하기[封] 3회, 칠하기[塗] 1회, 찜질[熨] 1회, 안마 1회의 횟수로 사용되었다.
화상치료 처방을 종합하면, 약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인간이나 짐승의 배설물, 곡식, 계란, 돼지똥 등의 재료를 겔 상태나 가루, 액체 상태로 만들어 바르거나 붙이는 방법을 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화상 치료는 상처 자체에 대한 치료를 중심으로 진행했다는 점에서 외상치료 방법과 본질상 유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2) 화상 흉터 제거 처방
① (소상) 흉터가 생긴 경우, 수은 2, 남자악[男子惡: 남자의 정액 혹은 대변] 104) 4, 주사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화덕의 연기가 빠져나가는 통로에 2-3일 놓아두면(약이) 만들어지는데, ……로 싸서 환부에 바른다. 약을 붙이고 방에 틀어박혀 창과 문을 닫고 외출하지 마라. 방에서 대, 소변을 해결하고, 별과 달을 보지 않는다. 한 달이 지나면 낫는다. 105)
② 가을 대나무를 삶아, 그 열기로 상처를 훈증하면 낫는다. 106)
화상 흉터 제거 관련 전체 처방을 간략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표에 나타난 것처럼, 화상 흉터를 제거하기 위한 재료로는 수은, 남자악(남자의 정액 혹은 대변), 주사[丹], □의 피, 가을 대나무가 1회씩 사용하고 있다. 혼합, 열 가하기, 자르기, 삶기를 1회씩 사용하여 재료를 가공하여 겔(1)이나 즙(2), 재(1), 연기(1)의 상태로 만든 다음, 가공한 재료들을 바르기 4회, 훈증 1회의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화상 흉터에 대해서는 상처 부위에 대해 직접적인 치료를 주로 행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약물 사용과 함께 한 달 동안 실내에 머무르며 해와 달에 노출하지 말 것 1회, 몸을 청결히 할 것 1회를 주문하고 있다.
3) 하퇴 화상 처방
외상 치료에서 일반 외상과 하퇴 외상의 처방을 달리했던 것처럼, 화상 역시 하퇴 화상은 다른 부위의 화상과 구별하여 처방하고 있다.
① 하퇴 화상: 하퇴 화상 치료는 묵은 팥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개 쓸개와 섞어 바른다. 111)
② 하퇴 화상: 느릅나무 열매[蕪荑] 112) 핵을 갈아서 가루로 만든다. 응고된 돼지 기름를 열로 녹인다. (돼지기름과) 갈아 둔 (느티나무 열매 핵 가루를) 섞어 바른다. 113)
③ 꿩 두 마리를 잡은 다음 병과 벌레들을 삶아 익혀 (없애고), 꿩 털이 저절로 빠져 떨어지면, (그 가운데) 부드러운 것과 사람의 머리카락을 함께 태운 다음 갈아 분말로 만든다. 그 재를 취하여 돼지기름과 섞어 (환부에) 바른다. 114)
④ 여름에는 제비꽃의 잎[堇葉]을, 겨울에는 그 뿌리를 모두 입으로 깨물어 환부를 봉한다. 또는 말려서 환부에 봉한다. 이 처방은 이미 시험했다. 115)
위의 표에 나타난 것처럼, 하퇴 화상에는 묵은 팥(1), 개 쓸개(1), 느릅나무 열매, 꿩털, 사람 머리카락, 제비꽃의 잎과 뿌리가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개의 쓸개는 『명의별록』에서 “딱지가 헐어서 그로 인한 농혈이 부패하여 오래되어도 낫지 않는 병증[痂瘍惡瘡].”에 효험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꿩은 『명의별록』에 보이지만, 화상치료 효과에 대한 기재는 없다.
묵은 팥을 개 쓸개와 섞어서 붙일 때는 다른 보조재료는 사용하고 있지 않고 개 쓸개의 점성을 이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느릅나무 열매 가루나 꿩 털의 재와 사람 머리카락의 재를 상처에 바를 때에는 돼지기름을 보조재료로 이용하여 접착성을 확보하고 있다. 제비꽃 잎과 뿌리는 사람의 입으로 씹어 분쇄하여 붙이고 있다.
4. 직장·항문 질환 관련 처방
출토된 간백자료에는 직장과 치질, 치루, 항문소양증 같은 일련의 항문 관련 질환의 처방들이 기재되어 있다. 병증에 따라 대표적인 처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직장 탈출증(rectal prolapse) 처방
○ 환자의 직장[州]이 나왔는데 (다시) 들어가지 않는 경우, 기름을 튀어 나온 (직장)에 바르고 그 사람을 거꾸로 매달고 찬물을 배에 끼얹으면 (다시) 들어간다. 116)
직장 탈출증은 암치질과 혼동하기 쉬운 병증이지만, 진한시대 초기에 암치질과 직장 탈출증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처방하였음을 알 수 있다 .
2) 치질, 치루 관련 질환 처방
[외치(수치질) 관련 처방]
① 수치질이 우렁이 살 같이 튀어나오거나 쥐의 유두와 같은 모양을 가진 것은 튀어나온 부분은 크지만 뿌리는 작고 그 속에 구멍이 있다. 다음과 같이 처치하라. 빨리 뜸으로 117) 열을 가한 다음 그 뿌리가 되는 작은 부분을 비틀어 끊어내고 침실 옆 사당의 공중에 놓인 제사용 기장밥을 취하고, 죽은 사람의 두개골을 구워, 갈아 분말로 만든 후 점성이 있는 기름에 적셔 (수치질 뿌리에 있는) 구멍에 넣어라. 118)
② 수치질이 큰 것은 대추 크기이고, 작은 것은 대추 씨 크기일 때의 처방: 작은 뿔[小角]로 수치질을 감싸 돌출시키고, 대략 쌀 두 말을 익히는 시간이 되면 작은 뿔을 떼어내고 가는 끈으로 치핵을 묶은 후 칼로 잘라낸다. (치료 여부는 잘라낸 어혈[淤血: Blood Stasis]에 따라 판단하는데), 새삼의 씨[兔絲子]와 같은 것이 들어있거나 피가 손가락 끝 크기로 뭉쳐있으면 낫는다. 이 처방은 효과가 좋다. 119)
③ 수치질이 항문 주변에 있으면서, 크기가 대추의 씨 같으면서 때로 가렵고, 때로 통증이 있을 때의 처방: 우선 (수치질을) 제거하라. 만약 제거할 수 없다면 거북의 뇌와 지담(Meloe coartatus 전체를 말린 것)을 반반씩 섞어서 환부에 바른다. 작은 타원형 돌을 구워 식초 속에 넣어 온도를 내린 다음 환부를 따뜻하게 찜질하는 데 사용한다. 낫지 않으면 이 방법을 여러 번 반복하라. 이 방법은 효과가 좋다. 120)
[내치(암치질) 관련 처방]
④ 치질이 생긴 경우 장(醬)을 노란 암탉에게 부어 죽게 한 다음, 닭을 골풀로 싸서 진흙을 발라 불에 굽는다. 바른 진흙이 마르면 닭고기를 먹고 닭털로 회음부를 훈증하라. 121)
⑤ (암치질로 인해) 직장이 막힌 경우는 개를 죽여, 그 방광을 꺼내, (속이 빈) 대나무 관 끝에 끼우고 직장 안에 (막힌 부위 위까지) 밀어 넣는다. (대나무 관에) 바람을 불어서 (방광을 부풀린 다음, 직장 하단의 환부를) 끌어내 천천히 칼로 그 치핵을 제거한다. 다시 황금을 갈아 분말로 만들어 환부에 여러 번 바른다. 122)
[치루(脈痔) 처방]
⑥ 맥 123)치가 생긴 경우의 처방: 육식을 하는 5종류 들짐승의 털을 각기 같은 분량을 취하여 태워 갈아 분말로 만들어 합쳐서 섞어 ……. 매일 아침 식전에 손가락 3개[엄지, 검지, 중지]로 집을 수 있는 만큼의 분량을 크게 3번 집어 따뜻한 술 한 잔에 넣어 마신다. 저녁이 되면 또 (저녁) 식사 전에 아침과 같은 양을 마신다. (이렇게) 약을 복용하기를 20일 동안 하면, 오래된 병이라도 반드시 낫는다. 약을 복용할 때 돼지고기, 물고기를 먹지 말아라. 이 처방은 이미 시험을 거쳤다. 124)
위의 인용문 중 외치 치료 처방을 살펴보면, 치질에 뜸으로 열을 가한 뒤 비틀어 끊어낸 다음 약물로 치질 구멍 메우기(①), 치핵을 묶고 잘라내는 수술(②), 우선 수술을 고려하고, 그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약물을 바르는 처치와 찜질의 동시 처치(③)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내치 처방에서는 훈증(④)과 수술(②)을 통한 치핵의 제거를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치루에 대해서는 육식을 하는 5종류 들짐승의 털을 각기 같은 분량을 취하여 태워 갈아 분말로 만들어 술과 함께 복용할 것을 처방하고 있다.
치질, 치루 관련 모든 처방을 간략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위의 표를 보면 외치를 치료하는 4가지 처방 가운데 3가지 처방에서 수술을 사용하고 있다. 수술적 치료 후에는 ①과 같이 사당의 기장밥과 죽은 사람의 두개골을 갈아 기름과 합하여 겔 상태로 만든 후 구멍을 메꾸거나, ④와 같이 수술을 우선 고려하고, 그래도 제거되지 않으면 거북의 뇌와 지담의 쓸개를 섞어 상처에 바르도록 하고 있다. ③은 수술 요법만을 사용하고 있고, ④는 수술을 먼저 고려해야 하지만, 상황이 어려운 경우 환부에 약물투입과 찜질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내치에 관해서는 5가지 처방이 제시되고 있는데, 훈증이 3회, 찜질이 1회, 수술이 1회를 차지하고 있다. 훈증을 하는 경우 훈증용 질그릇[罋]을 사용하고, 훈증할 때 마실 특수 음료를 제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⑤). 특히 개의 방광을 구해 대나무 끝에 끼우고 항문에 삽입하여 개의 방광을 암치질의 윗부분까지 밀어 올린 다음 개의 방광을 팽창시켜 암치질의 치핵을 항문 밖으로 끄집어내 수술하는 방법(⑧)은 상당히 흥미롭다.
마지막으로, 치루를 고치기 위한 방법으로는 20일 동안 돼지고기와 물고기를 먹지 않으면서 육식을 하는 5종류의 들짐승의 털을 각기 같은 분량을 취하여 태운 다음 갈아 분말로 만들어 매일 아침과 저녁 식사 전에 손가락 3개[엄지, 검지, 중지]로 집을 수 있는 만큼의 분량을 크게 3번 집어 따뜻한 술 한 잔에 넣어 마실 것을 처방하고 있다(⑩).
3) 항문소양증 처방
지금까지 발견된 간백자료에는 항문이 가려운 항문소양증과 관련된 2가지 처방이 있다.
① 항문소양증 129) 처방: 치질이 있는 경우 직장 옆에 작은 구멍이 생기면, 그 구멍은 위는 작고 아래는 큰데, 나올 때 그 구멍을 따라 나온다. 요충[白蟲] 130)이 때로 구멍을 따라 나오기도 하는데 그 때 직장이 아픈데, 매운 것에 닿은 느낌과 유사하다. 이를 다스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심(柳蕈) 131) 1, 쑥[艾] 2의 비율로 모두 2가지 약물을 사용한다. 땅을 파는데 넓이와 깊이는 단지와 같은 크기로 하고, 판 땅에 불을 피워 건조시킨 후 쑥을 그 속에 넣고 유심을 쑥 위에 올려놓은 다음 쑥과 유심을 태운다. 단지 하나를 취하여 그 밑동을 뚫는데 크기는 둥글게 1촌(寸)이 되게 하고, 단지를 판 구멍 위에 맞추어 덮는다. (파놓은 구멍과) 단지가 만나는 곳을 흙으로 막아 연기가 샐 수 없도록 한 다음 단지를 옷으로 덮는데, (이때) 단지 구멍은 덮지 않도록 하라. 항문소양증이 있는 사람에게 단지에 걸터앉아, 직장이 단지 구멍을 향하게 하여 연기로 직장을 훈증한다. 직장을 훈증할 때 뜨거우면 (엉덩이를) 들고, 차면 (엉덩이를) 내리고, 피로해지면 쉬어라. 132)
② 주먹만 한 크기의 돌 14개를 취하여 잘 굽고, 좋은 품질의 도정된 쌀을 반 되 정도 골라, 물은 쌀의 여덟 배로 하고 돌을 그 가운데에 넣는다. 돌은…잘 익으면, 마시면 낫는다. 133)
위의 인용문과 표에 나타난 것처럼, ①은 요충에 의한 항문소양증에 대한 처방으로 훈증을 치료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고, ②는 일반적인 항문소양증에 대한 처방으로 돌과 쌀을 넣고, 그보다 8배의 물을 부어 만든 즙을 복용할 것을 처방하고 있다.
4) 치질과 다른 질병의 동일 처방
[내치·목부상 처방]
① 미무(蘼蕪) 뿌리, 방풍, 오두, 계를 갈아 분말로 만들어 순주에 담갔다가 검은콩 크기의 알약으로 만들어 그것을 삼켜라. 처음에는 한 알씩 복용하고 효과가 없으면 다시 한 알씩 더 복용한다. ……가 최대 용량이다. 목 부상을 치료하는 데에도 쓸 수 있다. 항상 식전에 약을 복용하라. 134)
[내치·요충증(enterobiasis) 처방]
② 암치질의 핵이 여러 개이거나 요충증(enterobiasis)일 경우의 처방: 먼저 반들반들한 가래나무 방망이[滑夏鋌] 135)을 누관[瘻管: fistula]에 통과시켜 피를 나게 한다. 깊이가 1척(尺) 반(대략 34.5㎝), 136) 길이 1척(대략 23㎝), 넓이 3촌(대략 6.93㎝)인 구덩이를 만들어, 그 안에 □나무로 만든 숯을 태운다, 고삼[駱阮] 적은 반 말[少半斗]를 태워 숯 위에 베를 펼쳐 두르고 (그 위에) 앉아 항문을 훈증한다. 연기가 사라지면, 살찐 □ 고기를 취하여 불 속에 넣고, (치질을 훈증할) 때, (항문을 이완시켜) 치핵을 (충분히) 노출시켜 연기가 항문에 들어가게 해야 한다. 만일
불이 꺼지면 □로써 □해야 한다. 날마다 한 번 훈증해야 한다. 아래로 □하여 □한다. 5일에서 6일이 지나면 □□□□한다. 낙원(駱阮)은 일명 백고(白苦)라고도 하고, 고침(苦浸)이라고도 한다. 136)
③ 누관이 아직 생기지 않은 경우는 대추와 기름[膏]을 각각 한 말씩 취하여 삶아 (물을 첨가하여?) 약즙 네 말을 만든 다음 접시에 담은 후, 그 위에 쪼그리고 앉으면 요충이 기어 나올 것이다 .138)
우선, 내치·목부상 처방을 살펴보면, 미무 뿌리, 방풍, 오두, 계를 갈아 항상 식사 전에 순주에 타 마실 것을 처방하고 있다. 다음으로 내치·요충증 첫 번째, 처방에서는 나무 방망이를 누관에 통과시키는 수술을 진행하고 이후 훈증을 실시하게 하고 있고, 두 번째 처방에서는 환부를 약즙에 담글 것을 처방하고 있다.
5. 장퇴(腸㿗, 서혜부 탈장) 관련 처방
출토된 간백 자료에는 일련의 ‘퇴(㿗)’와 관련된 일련의 처방이 있다. 「오십이병방」에 보이는 ‘퇴’에 대해 주에서는 ‘퇴산(㿗疝)’이라고 하고 있는데, 139) 이 병은 노화로 복부의 벽이 약해지거나 심한 기침, 무거운 짐을 드는 등으로 인해 지나치게 복압이 상승할 때 사타구니 주변에 발생하는 증상으로 소장이 음낭에 들어갔다가 복강으로 올라가기를 반복하는 서혜부 탈장이다( 魏啓鵬·胡翔驊, 1992: 96). 140) 탈장은 상복부, 반흔, 배꼽, 스피겔, 대퇴부, 서혜부에서 발생하는데, 탈장의 70% 정도가 사타구니, 즉 서혜부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대 의학에서는 수술로만 완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외과 질환인 서혜부탈장을 당대인들은 어떻게 치료했을까?
간백자료에 보이는 대표적인 장퇴(腸㿗, 서혜부 탈장) 관련 처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장퇴(서혜부 탈장) 관련 처방
[서혜부 탈장 초기]
① 장퇴가 처음으로 생겨 구부러짐이 크지 않은 경우의 처방: 온전한 뱀을 잡아 허물을 벗긴 것 한 마리, ……개…… 한 마리, 모두 구워서……(병자에게) 술을 마시게 하여 적당히 취하게 하라. 남녀 모두 가능하다. 이 처방은 효과가 좋다. 141)
[서혜부 탈장]
② 누에알[蠶卵]을 불에 구워 재빨리 노랗게 만든 다음 갈아 분말로 만들고 손가락 3개[엄지, 검지, 중지]의 첫 번째 마디만큼의 분량을 술 한 잔에 넣고 마신다. 3, 4일 계속한다. 142)
③ 장퇴가 있는 사람 및 넓적다리에 발생한 옹[癰](thigh abscess)이 서혜부(鼠腹·鼠蹊部, inguinal region)에 있는 경우에는 뜸을 가운데 손가락의 손톱에 2장(壯) 143)의 힘으로 뜬다. 144)
④ 장퇴(腸㿗)의 병증이 생기면, 고환을 위로 밀어 올리고, 음낭 껍질을 아래로 당긴 다음, 침으로 음낭 껍질의 표피를 뚫어라. □□의 즙과 기름[膏]□을 순[醇]□에 넣어 휘저어라. 또 환부에 뜸을 뜨는데 바람에 접촉하지 않아야 쉽게 낫는다. 태음(太陰), 태양(太陽)에 침을 떠야 □□하다. (이 처방은) 효과가 좋다. 145)
위의 서혜부 탈장에 대한 대표적인 처방들을 살펴보면 우선 서혜부 탈장 초기에는 해독되지 않은 글자가 많지만 아마도 뱀과 개를 가루로 만들어 복용시키는 치료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①). 다음으로 일반적인 서혜부탈장에는 가루약의 복용(②), 뜸(③), 침과 뜸의 동시 사용(④) 등을 통하여 서혜부 탈장을 치료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간백자료에 보이는 서혜부탈장에 대한 모든 처방을 간략표를 통해 살펴보자.
위의 표에 나타난 서혜부 탈장 치료법을 보면 전체 13가지 처방 중에서 치료 방법을 알 수 있는 처방은 11가지인데, 이 가운데 다섯 사례가 음식물 복용과 관련 있다. 복용한 음식물은 뱀, 계란(2차례), 누에알, 벌의 알 등으로 오늘날의 영양학적 개념으로는 대표적인 고단백 식품들이다. 당시 사람들이 서혜부 탈장이 근본적으로 부족한 영양 섭취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했으며, 고단백질 음식의 섭취를 통해 근육 등을 강화하는 것이 치료법이라고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식품들을 식초 2회, 술 2회와 함께 섭취하게 하고 있다. 나머지 6가지 처방 중에서는 뜸이 3차례, 침과 뜸의 동시 사용이 1차례, 바르기가 2차례 사용되고 있다.
2) 장퇴(서혜부 탈장)와 다른 질병의 동일 처방
「오십이병방」에는 장퇴(서혜부 탈장)와 다른 질병을 동일한 처방으로 치료하는 2개의 처방이 있다.
[장퇴(서혜부 탈장) 및 목 부위 종양]
① 장퇴 및 목 부위 종양[癭]이 생긴 경우 죽은 사람을 제사 지낸 음식을 쪄서 새 베[布]로 싸서……상을 행하기 이전에 ……. 156)
[장퇴(서혜부 탈장) 및 넓적다리 종기]
② 원잠종(原蠶種, 蠶卵?) 157) 1방척(方尺), 식의백어(食衣白魚) 158) 7마리의 긴 다리 14개를 취한다. 잠종(蠶種)을 볶아 노릇노릇해지게 하고, (다시) 잠종을 문지른 다음 갈아 분말로 만든다. 식의백어의 긴 다리 역시 똑같이 한다. 3가지 약물의 적정 분량의 약을 취하여 식초 2승(升)에 섞어 식전에 복용한다. 159)
위의 장퇴(서혜부 탈장) 및 갑상선종양과 장퇴(서혜부 탈장) 및 넓적다리 저(疽)의 동일 처방에서도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제사지낸 음식과 누에 알, 식의백어(食衣白魚)라는 벌레의 다리이다. 장퇴(서혜부 탈장) 및 넓적다리 저(疽)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처방에서는 가공한 약물을 식전에 복용하고 아기는 성인의 ½만 복용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아기들 역시 당시 장퇴(서혜부 탈장) 증상이 빈번하게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6. 맺음말
지금까지 출토된 간백에 보이는 외과 질환 처방 가운데 외상 13가지, 금창 13가지, 경병 6가지, 화상·탕상 22가지, 직장·항문 16가지, 장퇴 15가지, 모두 합해 85가지의 처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러면 이들 처방에 나타난 질병 치료는 어떤 방법을 통해 행해졌는가를 표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의 표에 나타난 것처럼, 외상과 화상·탕상의 치료법은 두 질환 모두 외치와 내복의 처방 수의 차이가 보여주는 것처럼 상처 자체에 대한 외치를 기본적으로 행하고 내복을 부가적으로 시행했다는 점, 즉, 상처 부위 자체에 대한 치료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양자의 치료법이 기본적으로 동일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금창의 치료에서는 내복법(11)이 외치(4)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행해졌고, 경병의 치료에서도 내복법(3)이 외치법(2)을 앞서고 있다. 이것은 두 질환이 표면의 상처에서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 내부의 치료를 통해 이들 질병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을 당시 사람들이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직장·항문 질환은 외치법(18)이 내복법(1)에 비해 압도적인 숫자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질환은 기본적으로 수술법과 수술 이후 해당 부위에 대한 약재의 투입이나 훈증을 통해 치료하고 있다. 그리고 장퇴(서혜부 탈장) 질환은 외치법(8)과 내복법(7)이 거의 비슷한 빈도로 사용된 질환이지만, 외치법으로 분류된 뜸(4)이나 침(1)이 기본적으로 신체 내부에 대한 치료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장퇴 질환은 신체 내부 치료가 중심이었던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장퇴 질환은 뱀, 계란, 누에알 등 고단백 음식의 섭취를 통해 이 질환의 치료를 시도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질병 치료에 사용된 약물을 살펴보면 초목류가 47종, 인간과 동물류 약재가 41종, 금속·돌·기타 약재 9종이 사용되었다 .
그리고 이들 약재들은 초목류 47종의 약재 가운데 2가지 이상의 병증에 이용된 약재는 8종(출, 후박, 고삼, 조, 팥, 기장, 대추, 쑥), 3가지 이상의 병증에 이용된 약재는 4종(감초, 생강, 오두, 황금), 4가지 이상의 병증에 이용된 약재는 1종(桂)으로 초목류 47종의 약재 가운데 2 가지 이상의 병증에 사용된 약재는 13종에 불과하고, 나머지 34종의 약재는 1가지 병증에만 사용되고 있다. 동물 관련 약재 41종 가운데 2가지 이상의 병증에 사용된 것은 4종(개, 개 쓸개, 계란, 고기), 3가지 이상의 병증에 사용된 것은 1종(머리카락), 4가지 이상의 병증에 사용된 것은 1종(여자월경포)이고, 나머지 35종은 1가지 병증에만 사용되고 있다. 금속·돌·기타류 9종 가운데서는 2가지 이상의 병증에 사용된 약재가 없다. 이것은 금속류 약재인 장석, 소석, 석고가 오직 금창에만 사용되고, 3가지 이상의 병증에 사용된 사람의 머리카락이 외상·금창·하퇴화상의 지혈 등에 한정되어 사용된 것처럼, 당시인들이 처방 약재의 효과에 대해 비교적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약물의 가공, 부착 섭취에 필요한 부가재료로 장(醬), 술, 식초, 시즙(豉汁), 그리고 동물성기름 등이 용도에 맞추어 사용되었으며, 약물의 용법·용량, 치료시의 주의사항, 약재의 가공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는 점도 지적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면 이들 처방들 가운데 약물 처방은 어떻게 사용되었을까? 이와 관련하여 본문에서 『돈황한간』에 보이는 낙상 처방의 마지막에 기록된 “신(臣) 안국(安國)”이 의사일 것이라는 견해를 살펴보았지만( 張雷, 2019: 350), 이들 처방이 원래 전문 의사 집단에 의해 처방되고, 기록되고,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이 처방들은 전문 의사 집단뿐만 아니라 민간과 일선 부대에서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미 본문에서 거연한간에 보이는 화살을 뽑을 때의 처방이 당시 의사가 부상 사졸을 직접 치료한 처방이 아니라 거연이라는 변방 지역에서 사졸들이 전투 중 화살에 맞아 다쳤을 경우 급히 치료하기 위해 관련 처방을 의서에서 의도적으로 베껴 쓴 것이라는 견해를 살펴보았지만(劉金華, 2005), 이것은 이들 처방들이 전국시대에서 한 중기에 있었던 일련의 전쟁에서 일선 병사들의 치료를 위해 일선 부대에 보급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 견해는 『무위한대의간』 등의 처방 끝부분에 주로 보이는 “(외부에) 알리지 말아라.”라는 대상이 적이나 외국이었을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전문 의사가 아니라 변경 일선 부대 봉수의 수장이 시장에서 약을 매입한 사례가 있고, 161) 돈황지역 봉수에 있었던 약상자[藥函]가 출토된 것을 볼 때(< 그림 2>), 162) 비축 약물은 변경의 소규모 부대에서는 의사의 직접적인 처방 없이도 관행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163) 『설원』에 보이는 “무의(巫醫)가 ……탕약으로 이를 다스렸다” 164)라는 기사 역시 전문의사가 없거나 배치되지 않았던 기층 민간조직에서도 무의가 이런 처방과 약물들을 비축하고 사용했음을 시사해 준다.
지금까지 외상, 화상, 장, 항문 관련 질환에 대한 85가지 처방을 살펴보았지만, 간백에는 이들 병증에 대해 지금까지 살펴본 처방만이 아니라 질병을 인격이 있는 존재로 의인화시켜 욕을 하고 저주하고 달래서 질병을 쫓아내기를 기원하는 축유 처방도 있다. 165) 축유처방과 외과 질환 가운데 다루지 못한 옹저나 짐승과 벌레에 의한 쏘임·물림 처방 등에 대해서는 별고를 기약하고자 한다.
그림 1.
후한시대의 방촌비(方寸匕) 실물
Figure 1. Fangcunbi(square-cun dagger) from the Late Han Dynasty
그림 2.
감숙(甘肅) 돈황(敦煌) 출토 후한시대 “현명수약함(顯明隧藥函)” 뚜껑
Figure 2. The lid of a medicine box from the Later Han Dynasty
Table 1.
The prescriptions of external injury
병증 |
재료와 도구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방법 |
용법 용량 |
기타 |
출전 편호 |
외상 지혈 |
① 사람 머리카락 |
굽기 |
재 |
두드리기 |
|
|
「오십이병방」 |
외상 통증 지혈 |
② 해진 부들로 만든 자리 |
굽기 |
재 |
|
|
|
「오십이병방」32)
|
외상 소독 |
③ 황금(黃芩), 돼지 기름 |
갈기 |
즙 |
씻어냄(浘) |
|
|
「오십이병방」 |
달이기 |
외상 |
④ □□기름(2), 감초(2), 계(桂), 생강, 산초, 수유 |
|
환약 |
복용(환약을 부숴 술 한 잔에 넣어 마심) |
하루 1번 |
|
「오십이병방」 |
⑤ 흰 닭의 털, 사람 머리카락, 백초말 |
굽기 |
환약 |
복용(환약을 부숴 따뜻한 술에 넣어 마심) |
|
|
「오십이병방」33)
|
갈기 |
⑥ 말린고기[朐], 팥 한 말 |
갈기 |
즙 |
•복용(즙) |
|
|
「오십이병방」34)
|
익히기 |
•먹음(찌꺼기) |
⑦ 속단35) 뿌리 1줌,36) 독□(獨□) 2정(梃), 황금 2정, 감초 □정, 가을오두.37)
|
달이기 |
즙 |
바르기 |
|
|
「오십이병방」38)
|
익히기 |
오래 낫지 않은 외상 |
⑧ 살구씨의 알맹이, 점성이 있는 기름 |
분쇄 |
겔 |
봉하기 |
|
시험 완료 |
「오십이병방」 |
섞기 |
외상 흉터 |
⑨ 돼지기름 |
갈기 |
겔 |
바르기 |
|
|
「오십이병방」 |
혼합 |
⑩ 남자의 콧물 혹은 정액 |
|
겔 |
바르기 |
|
|
「오십이병방」 |
하퇴외상 |
⑪ 구뇨중니 |
|
가루 |
바르기 |
|
이미 사용 |
「오십이병방」 |
오래 낫지 않은 하퇴 외상 |
⑫ 강황(⅓), 출[朮]40) (⅓), □□(⅓) |
갈기 |
가루 |
담그기(가루를 물에 풀고 발 담그기) |
금지 없음. 때 없음. |
효과 좋음 |
「오십이병방」41)
|
삶기 |
낙상 |
⑬ |
|
|
|
|
20일 : 뭉친 피 내려감. |
돈황한간 「의방」 |
30일: 완치 |
Table 2.
The comparative table of the prescriptions of metal-inflicted wound between 「Prescriptions of Fifty-two Diseases」 and Qian Jin Fang
출전 |
병증 |
약명 |
약물 형태 |
「오십이병방」 |
여러 외상 |
감초, 계(桂), 생강, 산초, 수유, □□기름[膏] |
알약[丸] |
『천금방』 권25, 피타(被打), 당귀산42)
|
말에서 떨어짐, 수레에서 추락, 손목[腕], 팔[臂], 다리가 부러져 통증이 그치지 않음. |
계심(桂心), 촉초, 당귀, 감초, 부자, 택란(澤蘭), 궁궁(芎藭), 술 |
가루약 |
『천금방』 권25, 금창(金瘡), 내보산43)
|
금창으로 인한 출혈로 허갈(虛喝)이 심한 경우. |
감초, 계심, 말린 생강, 촉초, 종용(蓯蓉), 작약, 당귀, 궁궁, 황금, 인삼, 후박, 오수유(吳茱萸), 백급(白及), 황기 |
가루약 |
Table 3.
The prescriptions of metal-inflicted wound
병증 |
재료와 도구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방법 |
용법 용량 |
기타 |
출전*
|
금창 |
① 석□(石□), 순주, 따뜻한 술(반 잔) |
갈기 |
가루 |
복용(온주 반 잔에 마심) |
•삼지촬 |
|
2️⃣ |
적시기 |
•베인 상처 많음 100, 상처 크고 깊음 80, 상처 작음 40 |
불에 말리기 |
② 양의 똥 |
굽기 |
가루 |
바르기 |
|
|
2️⃣58)
|
③ 점성 있는 기름 [肪膏], 오두 |
달이기 |
겔 |
바르기 |
|
|
2️⃣59)
|
④ 촉초, 궁궁, 용어(鯒魚), 사람 머리카락, 생 돼지기름, 용골, 달인 양의 기름, 조, 누에 똥, 개의 쓸개, 여자의 월경포, 따뜻한 술 |
볶기 |
겔(2) |
•복용(술 두 말에 넣어 마심) |
1도규 |
물고기, 돼지고기, 말고기, 자극적인 향과 맛을 가진 채소 [훈채][葷], 생고기, 옻이나 국화의 줄기 금지 |
5️⃣60)
|
갈기 |
굽기 |
가루(2) |
•바르기 |
문지르기 |
•훈증 |
금창 통증 제거 |
⑤ 두더지, 장석, 신이, 감초, 술 |
건조 |
가루 |
복용(술에 타 마심) |
삼지촬 |
|
1️⃣61)
|
⑥ 두더지, 이어(鮧 魚), 장석, 신이, 감초. 따뜻한 술 |
갈기 굽기 휘젓기 |
가루 |
복용(따뜻한 술 에 넣어 마심) |
통증 소멸까지 복용 량 증가시킬 것 |
효과 좋음 |
2️⃣62)
|
⑦ 냉이 씨앗 말린 것 [乾實], 출(朮)의 뿌리, 순주 |
분쇄 |
가루 |
복용(순주에 넣 어 마심) |
•생선, 돼지고기, 말고기, 날벌레, 훈채(생강, 마늘 등), 마수채 금지 |
•남은 약물 비단 [繒]에 싸 보관 |
2️⃣63)
|
익히기 |
볶기 |
혼합 |
•성교 금지 |
•효과 좋음 |
갈기 |
•없음 |
햇볕 건조 |
⑧ 증청(1푼), 장석(2 푼), 따뜻한 술 |
갈기 |
가루 |
복용(따뜻한 술 에 넣어 마심) |
•1도규 |
|
4️⃣64)
|
혼합 |
•하루 3번 |
⑨ 석고(1푼), 생강 (2푼), 감초(1푼), 계(1푼), 식초 |
갈기 |
가루 |
복용(식초로 만든 음료에 넣어 마심) |
•1방촌비 |
•효과 아주 좋음 |
4️⃣ |
혼합 |
•낮에 두 번, 저녁에 한 번 복용 |
•외부 알림 금지 |
금창 어혈 |
⑩ 대황단(2分), 증청(2푼), 소석(2푼), 자충(3푼), 등에 머리(2푼), 술 |
갈기 |
가루 |
복용(술에 넣어 마심) |
•1방촌비 |
|
4️⃣ |
혼합 |
•2번 이상 복용 금지 |
금창 탈장 |
⑪ 용골(삼지촬), 시즙(豉汁) |
갈기 혼합 |
가루 |
복용(시즙에 넣 어 마심) |
삼지촬 |
외부 알림 금지 |
4️⃣65)
|
⑫ 용골, 시즙 |
갈기 |
가루 |
복용(시즙에 넣 어 마심) |
•삼지촬 |
•효과 크게 좋음 [大良] |
4️⃣ |
•낮에 두 번, 하루 세 번 |
•외부 알림 금지 |
화살 제거 |
⑬ 괄루(4푼), 역미(4푼), 보리(3푼), 장구(3푼), 후박(3푼), 술 |
혼합 |
가루 |
복용(약을 술 한 잔에 넣어 마심) |
|
|
3️⃣ |
Table 4.
The medicines used to metal-inflicted wound
분류 |
종류*
|
식물류 |
감초(4), 신이(2), 증청(2), 오두, 촉초, 궁궁, 조, 출의 뿌리, 생강, 계, 괄루, 냉이 씨앗 말린 것[乾實], 후박 |
동물류 |
용골(3), 통어(鯒魚), 이어(鮧魚), 개의 쓸개, 두더지 |
곤충류 |
자충(䗪蟲), 등에 머리[䖟頭] |
광물류 |
장석(3), 소석, 석고 |
보조재료66)
|
술[순주(2), 따뜻한 술(4), 술(3)], 시즙(2), 식초(1), 점성 있는 기름[肪膏](1), 돼지 생 기름(1), 양의 달인 기름(1)] |
기타 |
양의 똥[羊矢], 사람 머리카락[人髮], 누에 똥[蠶矢], 여자의 월경포. |
판독 불가 |
맥장구(1), 역미(眯)(1), 石□(1), 대황단(1), |
Table 5.
The dose unit of powdered medicine, and the supplements when drinking powdered medicine
처방편호 |
가루약 투입 단위 |
가루약 복용시 보조재료 |
출전 |
① |
삼지촬 |
따뜻한 술 |
「오십이병방」 |
⑤ |
술 |
이야진간 의방 |
⑪ |
시즙(豉汁) |
『무위한대의간』 |
⑫ |
시즙 |
『무위한대의간』 |
④ |
1도규 |
술(두 말[斗]) |
『천회의간』 |
⑧ |
따뜻한 술 |
『무위한대의간』 |
⑨ |
1방촌비 |
식초 음료 |
『무위한대의간』 |
⑩ |
술 |
『무위한대의간』 |
⑬ |
술(한 잔) |
『거연한간』 의방 |
⑥ |
|
따뜻한 술 |
「오십이병방」 |
⑦ |
|
순주(醇酒) |
「오십이병방」 |
Table 6.
The prescriptions of Jing(痙) disease
재료와 도구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 방법 |
용법 용량 |
기타 |
출전 |
소금, 순주 |
볶기 |
가루 |
머리에 찜질[熨] |
•찜질 4일내 ?옷을 입고 바람 쐬지 말 것. |
효과 좋음. |
「오십이병방」 |
•4일 이후 외출 가능. |
•금지 없음. |
•때 없음. |
자두 |
삶기 |
즙 |
복용 |
금지 없음. |
시험 완료. |
「오십이병방」 |
거르기 |
효과 좋음. |
개, 누룩(반 말), 따뜻한 술(1잔) |
끓이기[漰], 담그기 |
가루 |
복용(따뜻한 술에 타 마심) |
삼지촬 |
|
「오십이병방」 |
그늘에서 말리기(100일) |
갈기 |
염교 한 줌, 순주(반 말) |
삶기 |
가루 |
복용(가루를 순주 반 말에 타서 마심) |
|
|
「오십이병방」81)
|
끓이기 |
황금, 감초, 돼지기름 |
갈기 |
겔 |
바르기 |
|
|
「오십이병방」82)
|
졸이기 |
황금 |
|
|
|
|
|
무위한간 「의방」 |
Table 7.
The prescriptions of burn and scald
재료와 도구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 방법 |
출전 |
사람 머리 때[人泥], 개털 혹은 양털. |
|
가공 없음 |
•칠하기[塗] |
「오십이병방」 |
•봉하기[封] |
얼미(蘖米), 후박 |
찧기[擣] |
겔 가루 |
바르기 |
「오십이병방」 |
달이기 |
조[秫米] |
삶기 |
즙 |
바르기 |
「오십이병방」 |
익히기 |
거르기 |
볶기 |
계란, 토끼털 |
|
겔 |
바르기 |
「오십이병방」95)
|
얼미, 젖 |
갈기 |
액체 |
바르기 |
「오십이병방」96)
|
어의(魚衣)97)
|
굽기 |
재 |
바르기 |
「오십이병방」98)
|
헤진 갈옷[敝褐]99)
|
굽기, 갈기 |
가루 |
바르기 |
「오십이병방」100)
|
여자 월경포 |
|
액체 |
바르기 |
「오십이병방」101)
|
짠 맛 흙[鹵土] |
찌기 |
가루 |
찜질 |
「오십이병방」102)
|
돼지똥, 식초 |
볶기 |
가루 |
봉하기 |
「오십이병방」 |
돼지똥, 술 |
볶기 |
가루 |
봉하기 |
「오십이병방」103)
|
기장[黍米] 4말 |
불 때 밥 짓기[炊], 찌기[饙] |
즙 |
•복용 |
천회의간 |
씹기[嚼] |
•안마 |
Table 8.
The prescriptions of removing burn scars
재료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 방법 |
출전 |
수은(2), 남자악(4), 주사[丹](1) |
혼합 |
겔 |
바르기(실내에 머무르며 한 달 동안 해, 달 노출 금지) |
「오십이병방」 |
열 가하기 |
과(瓜) |
자르기 |
즙 |
문지르기 |
「오십이병방」107)
|
바르기 |
(청결 유지) |
□의 피(□血) |
|
즙 |
바르기 |
「오십이병방」108)
|
□ |
|
재 |
바르기 |
「오십이병방」109)
|
|
|
|
|
「오십이병방」110)
|
가을 대나무 |
삶기 |
연기 |
훈증 |
「오십이병방」 |
Table 9.
The prescriptions of lower leg burns
재료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 방법 |
기타 |
출전 |
묵은 팥, 개 쓸개 |
갈기, 혼합 |
|
바르기 |
|
「오십이병방」 |
느릅나무 열매, 돼지기름 |
갈기, 혼합 |
겔 |
바르기 |
|
「오십이병방」 |
꿩털, 사람 머리카락, 돼지기름 |
굽기, 갈기, 혼합 |
겔 |
바르기 |
|
「오십이병방」 |
제비꽃 잎과 뿌리 |
씹어서 분쇄 |
|
봉하기[封] |
시험 완료 |
「오십이병방」 |
Table 10.
The prescription of rectal prolapse
재료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 방법 |
출전 |
기름[膏] |
|
|
기름을 환자의 직장에 바른 다음 환자를 거꾸로 매달고 찬물 끼얹기 |
「오십이병방」 |
Table 11.
The prescriptions of hemorrhoids, anal fistula
재료 |
재료와 도구 |
가공방법 |
약물 형태 |
치료 방법 |
기타 |
출전 |
외치 |
① 사당의 기장밥, 죽은 사람의 두개골, 점성있는 기름 |
굽기, 갈기 |
겔 |
뜸으로 열을 가해 끊어내고 약물 주입 |
|
「오십이병방」 |
② 살찐 암 양, 기장쌀(3말), 구리 분말, 두장 찌꺼기 |
삶기[烹], 담그기, 불때기, 씻기, 익히기, 으깨기 |
가루 |
바르기 |
2일이면 치유 |
「오십이병방」125)
|
③ 작은 뿔, 칼 |
|
|
수술 |
효과 좋음 |
「오십이병방」 |
④ 거북 뇌(반), 지담(반) 작은 타원형 돌, 식초 |
|
즙 |
•1차 수술 고려 |
효과 좋음 |
「오십이병방」 |
•수술로 제거할 수 없으면 약물을 붙이고, 찜질 |
내치 |
⑤ • [훈증] 오줌(5斗), 개똥쑥(크게 2줌), 손만한 크기붕어(7마리), 계(6寸), 말린 생강(2덩이), 훈증용 질그릇 |
삶기, 갈기, 끓이기 |
연기 |
•훈증(하루 3번) |
|
「오십이병방」 |
• [음료] 천초(2升), 사탕수수(2斗) |
•목마르면 약물[藥漿]을 마시고 다른것은 마시지 말 것. |
⑥ 여자월경포 |
굽기 |
연기 |
훈증(3일 한정) |
효과 좋음 |
「오십이병방」 |
⑦ 장(醬), 황색 암탉, 골풀 |
굽기 |
연기 |
•먹음(닭고기) |
|
「오십이병방」 |
•훈증(닭털) |
⑧ •[수술] 개 방광, 칼 |
삶기 |
가루 |
•수술 |
|
「오십이병방」 |
•[상처치료] 황금 |
•바르기 |
⑨ 소변, 수컷 쥐 |
갈기 |
증기 |
찜질(熨) |
|
「오십이병방」128)
|
치루 |
⑩ 육식을 하는 5종류 들짐승의 털, 따뜻한 술(한 잔) |
굽기, 갈기 |
가루 |
복용(한 잔 따뜻한 술에 타 마심) |
돼지고기, 생선 금지 |
「오십이병방」 |
Table 12.
The prescriptions of pruritus ani
재료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 방법 |
기타 |
출전 |
① 유심(1), 쑥(2) |
갈기, 굽기 |
증기 |
훈증 |
|
「오십이병방」 |
② 돌(14개), 쌀(大半升) |
굽기 |
즙 |
복용 |
|
「오십이병방」 |
Table 13.
The same prescriptions of hemorrhoids and other diseases
질병 |
재료와 도구 |
가공방법 |
약물형태 |
치료방법 |
기타 |
출전 |
내치· 목부상 |
미무 뿌리, 방풍, 오두, 계, 순주. |
갈기 담그기 |
환 |
복용 (순주에 담가 마심) |
항상 식전에 약 복용 |
「오십이병방」 |
내치· 요충증 |
고삼(작은 半斗), 살찐 □ 고기. |
태우기[燒] |
연기 |
수술 → 훈증 |
5, 6일 |
「오십이병방」 |
대추(1말), 기름(1말) |
삶기 |
즙 |
환부 담그기 (즙에 앉기) |
|
「오십이병방」 |
Table 14.
The prescriptions of fox hernia
재료와 도구 |
가공 방법 |
약물 형태 |
치료 방법 |
용법 용량 |
기타 |
출전 |
① 허물 벗은 뱀(1), □개(1), 술 |
굽기 |
|
복용(술) |
|
효과 좋음 |
「오십이병방」 |
② 여자월경포, 고기 |
담그기, 삶기[烹] |
탕 |
먹음(고기) |
|
|
「오십이병방」146)
|
복용(즙) |
③ 계란, 식초(1잔) |
|
|
복용(식초) |
|
|
「오십이병방」147)
|
④ 누에알, 술(반 잔). |
굽기[炙] |
가루 |
복용(술) |
3, 4일 |
|
「오십이병방」 |
갈기 |
⑤ 시후(枲垢),148) 쑥 |
굽기[炙] |
|
뜸 (정수리 중앙) |
|
|
「오십이병방」149)
|
⑥ 벌의 알 |
그늘에 말리기 |
|
|
|
|
「오십이병방」150)
|
⑦ 순주(醇酒) |
|
|
침, 뜸 |
|
효과 좋음 |
「오십이병방」 |
⑧ 균계(尺), 독□(獨□)(1升) |
갈기 |
|
바르기 |
|
|
「오십이병방」151)
|
⑨ 여자월사포 |
담그기 |
|
바르기 |
|
|
「오십이병방」152)
|
굽기[炙] |
⑩ 양황(量簧?), 계(5촌). |
굽기 |
|
|
|
|
「오십이병방」153)
|
갈기 |
⑪ |
|
|
뜸 |
|
|
「오십이병방」154)
|
⑫ 계란, 식초 |
|
|
복용(美醯) |
전날 밤 금식 |
|
「오십이병방」155)
|
⑬ |
|
|
침, 뜸 |
|
|
「오십이병방」 |
Table 15.
The same prescriptions of fox hernia and other diseases
질병 |
재료와 도구 |
가공방법 |
약물 형태 |
용법·용량 |
기타 |
출전 |
장퇴·목 부위 종양[癭] |
죽은 사람을 제사 지낸 음식[死者餟] |
찌기 |
|
싸기 |
|
「오십이병방」 |
장퇴·넓적다리 저(疽) |
원잠종(原蠶種)(方尺), 식의백어(食衣白魚) 7마리의 긴 다리(14개),160) 식초(2升). |
볶기, 문지르기, 갈기 |
가루 |
식초에 넣어 복용 |
식전 |
「오십이병방」 |
성인 2승 |
아기 1승 |
Table 16.
The methods of treating surgical diseases
질병 |
치료방법
|
외치 |
내복 |
외상 |
바르기(4), 담그기(1), 두드리기(1), 봉하기(1), 씻기(1) |
8 |
복용(3), 먹음(1) |
4 |
화상·탕상 |
바르기(14), 봉하기(4), 칠하기(1), 찜질(1), 안마(1), 문지르기(1), 훈증(1) |
23 |
복용(1) |
1 |
금창 |
바르기(3), 훈증(1) |
4 |
복용(11) |
11 |
경병 |
찜질[熨](1), 바르기(1) |
2 |
복용(3) |
3 |
직장·항문 |
수술(5), 훈증(5), 바르기(5), 찜질(1), 담그기(1), 매달기(1) |
18 |
복용(3), 마시기(1) |
1 |
장퇴 |
뜸(4), 침(1), 바르기(2), 싸기(1) |
8 |
복용(6), 먹음(1) |
7 |
Table 17.
The medicines used for External Injuries, Burns and Scalds, Intestines, Anus diseases inscribed on Bamboo and Silk
작용 병증수 |
병증 |
초목약재 |
동물약재 |
금속·돌·기타 |
1 |
외상 |
백초말(1), 산초(1), 속단(1), 수유(1), 부들(1), 살구씨의 알맹이(1) |
고기, 털(흰 닭), 남자의 콧물 혹은 정액 |
|
하퇴외상 |
강황(1) |
구뇨중니 |
|
금창 |
궁궁(1), 촉초(1), 신이(1), 증청(2), 괄루(1), 냉이 씨앗 말린 것(乾實), 맥장구, 역미 |
두더지(2), 용어(鯒魚), 이어(鮧魚), 용골(3), 누에똥, 양의 똥, 등에 머리, 자충 |
장석, 소석, 석고 |
경병 |
염교(1), 자두 |
|
소금 |
화상·탕상 |
가을 대나무(1), 과(瓜)(1), 느릅나무 열매(1), 제비꽃 잎과 뿌리(1), 헤진 갈옷(敝褐), 얼미, 어의(魚衣) |
돼지똥, 토끼털, 개털, 양털, 남자악, 사람 머리 때(人泥), 젖 |
수은, 짠 맛 흙(鹵土), 주사(丹) |
하퇴화상 |
|
꿩털 |
|
대장항문 |
개똥쑥(1), 골풀(1), 미무 뿌리(1), 방풍(1), 사탕수수(1), 천초(1), 유심(1), 쌀 |
거북 뇌, 붕어, 암탉, 암양, 수컷 쥐, 죽은 사람의 두개골, 육식을 하는 5종류 들짐승의 털, 소변, 지담 |
구리 분말, 돌(2) |
장퇴 |
균계(1), 시후(枲垢)(1) |
고기, 뱀, 벌의 알, 누에알, 잠종(蠶種), 식의백어(食衣白魚) |
|
2 |
하퇴외상·금창 |
출(朮)(2) |
|
|
금창·화상 |
후박(2), 조 |
|
|
외상·하퇴화상 |
팥 |
|
|
금창·하퇴화상 |
|
개 쓸개 |
|
화상·장퇴 |
|
계란 |
|
화상·항문 |
기장 |
|
|
경병·장퇴 |
|
개 |
|
대장항문·요충 |
고삼(1), 대추(1) |
살찐 □의 고기 |
|
장퇴·항문소양증 |
쑥(2) |
|
|
3 |
외상·금창·경병 |
감초(6) |
|
|
외상·금창·하퇴화상 |
|
머리카락(사람) |
|
외상·금창·항문 |
생강(3), 오두(3) |
|
|
외상, 경병·항문 |
황금(黃芩)(5)] |
|
|
4 |
외상·금창·항문·장퇴 |
계(桂)(5) |
|
|
금창·화상·항문·장퇴 |
|
여자월경포(월사포) |
|
참고문헌 REFERENCES
1. 甘肅文物考古研究所, 『敦煌漢簡』 (北京: 中華書局, 1991).
2. 甘肅省文物考古研究所, 『居延新簡』 (北京: 文物出版社, 1990).
3. 甘肅省博物館 등, 『武威漢簡』, (北京: 中華書局, 2005).
4. 甘肅省博物館·武威縣文化館, 『武威漢代醫簡』 (北京: 文物出版社, 1975).
5. 郭靄春 主編, 『黃帝內經素問校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2).
6. 裘錫圭 主編, 『長沙馬王堆漢墓簡帛集成』5, 6, (北京: 中華書局, 2014).
7. 國家文物局古文獻研究室, 『馬王堆漢墓帛書』1, (北京: 文物出版社, 1880).
8. 唐慎微,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9. 唐慎微 著, 尙志鈞 校點, 『證類本草』 (北京: 華夏出版社, 1993).
10. 陶弘景 著, 王家葵 輯校, 『本草經集注』, (南京: 鳳凰出版社, 2023).
11. 劉向 著, 向宗魯 校證, 『說苑校證』 (北京: 中華書局, 1987).
12. 李時珍 編纂, 劉衡如·劉山永 校注, 『本草綱目(新校注本)』 (北京: 華夏出版社, 2013).
13. 馬繼興 主編, 『神農本草經輯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14. 馬繼興, 『馬王堆古醫書考釋』 (長沙: 湖南科學技術出版社, 1992).
15. 馬王堆漢墓帛書整理小組, 『馬王堆漢墓帛書』 2, 3, 4, (北京: 文物出版社, 1983-1985).
16. 班固, 『漢書』 (北京: 中華書局, 1962).
17. 謝桂華·李均明, 『居延漢簡釋文合校』 (北京: 文物出版社, 1987).
18. 司馬遷, 『史記』 (北京: 中華書局, 1982).
19. 尙志鈞 輯校, 『唐·新修本草(北京: 輯復本)』 (合肥: 安徽科學技術出版社, 1981).
20. 尙志鈞 輯校, 『名醫別錄(北京: 輯校本)』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6).
21. 孫思邈, 『千金方』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8).
22. 孫思邈, 『千金翼方』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55).
23. 吳傑曾, 『離騷草木疏』 (北京: 文物出版社, 2020).
24. 吳礽驤 등, 『敦煌漢簡釋文』 (蘭州: 甘肅人民出版社, 1991).
25. 汪機, 『外科理例』 (北京: 商務印書館, 1963).
26. 中國社會科學院考古研究所, 『居延漢簡: 甲乙編』 (北京: 中華書局, 1980).
27. 中國中醫科學院中國醫史文獻硏究所 등, 『天回醫簡』 (北京: 文物出版社, 2022).
28.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居延漢簡』 (北京: 中華書局, 1978).
29. 陳偉 主編, 『里耶秦簡牘校釋』 (武漢: 武漢大學出版社, 2012).
30. 陳自明 저, 薛己 校注, 『外科精要』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31. 淸華大學出土文獻研究與保護中心 編·黃德寬 主編, 『淸華大學藏戰國竹簡(拾)』 (北京: 中書書局, 2020).
32. 河南省文物考古研究所, 『新蔡葛陵楚墓』 (鄭州: 大象出版社, 2003).
33. 何任 主編, 『金匱要略校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0).
34. 許慎, 『説文解字』 (北京: 中華書局, 1963).
35. 湖南省文物考古研究所, 『里耶秦简』 1 (北京: 文物出版社, 2010).
36. 湖南省文物考古研究所, 『里耶秦简』 2 (北京: 文物出版社, 2017).
37. 김부환·박현국, 「순우의 (淳于意) 진적에 (診籍) 나타난 질병의 고찰」, 『동국한의학연구소 논문집』 4-1, (1995), 1-23쪽.
38. 金仁洛·金桄德, 「상한론(傷寒論) 방촌비(方寸匕)의 현대용량추정」, 『대한본초학회지』 19-4, (2004), 195-201쪽.
39. 대한간호학회 편, 『간호학대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1996).
40. 류효룡·황치원, 「痙病의 病因病機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의학연구소논문집』 8-1 (1999), 371-378쪽.
41. 백혜경 등, 「先秦과 漢代 방제서에서의 오두(烏頭)류 약대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5-2 (2017), 325-336쪽.
42. 윤재석 편저, 『중국목간총람』 상·하, (서울: 주류성, 2022).
43. 정우진, 「침술(鍼術)의 성립에 관한 연구」, 『의사학』 20-2 (2011). 463-492쪽.
44. 周一謀 저, 김남일·인창식 역, 『고대 중국의학의 재발견』, (서울: 법인문화사, 2000).
45. 최해별, 「송대 의방(醫方) 지식의 전승과 사대부의 역할 –화독배농내보산(化毒排膿內補散)을 중심으로」, 『의사학』 27-1 (2018), 89-130쪽.
46. 馬雍, 「軑侯和長沙國丞相—談長沙馬王堆一號漢墓主人身分和墓葬年代的有關問題」, 『文物』 1972-9 (1972), 14-21, 47쪽.
47. 馬王堆漢墓帛書整理小組, 「馬王堆帛書六十四卦釋文」, 『文物』 1984-3 (1984), 1-8, 97-98쪽.
48. 龐境怡·張如青, 「簡帛醫書外科學、骨傷科學研究概述」, 『中醫文獻雜志』 2014-4 (2014), 55-59쪽.
49. 龐境怡·張如青, 「戰國秦漢時期“中醫外科”之成就-以出土涉醫簡帛爲中心的探討」, 『中國中醫基礎醫學雜志』 24-8 (2018), 1031-1033쪽.
50. 龐境怡·張如青, 「從出土簡帛看戰國秦漢時期中醫外科學」, 『中華中醫藥學刊』 2015-15 (2015), 2604-2607쪽.
51. 薛含麗·段曉華·熊益亮, 「先秦兩漢簡帛文獻中的外科病名研究」, 『醫學與哲學』 2022-1 (2022a), 69-72쪽.
52. 薛含麗·段曉華·熊益亮, 「先秦兩漢簡帛外科醫方外治法探析」, 『中醫藥導報』 2022-2 (2022b), 214-218쪽.
53. 孫機, 『漢代物質文化資料圖說』 增訂本,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8).
55. 熊益亮 편저, 『先秦兩漢簡帛醫方硏究』 (廣州, 廣東科技出版社, 2021).
56. 熊長雲, 「東漢銘文藥量與漢代藥物量制」, 『華醫史雜志』 48-6 (2018), 323-327쪽.
57. 魏啓鵬·胡翔驊, 『馬王堆漢墓醫書校釋』 1 (成都: 成都出版社, 1992).
59. 李家浩·楊澤生, 「北京大學藏漢代醫簡簡介」, 『文物』 2011-6 (2011), 88-89쪽.
60. 李建民, 『生命史學-從醫療看中國歷史』 (臺北: 三民書局, 2008).
61. 李鍾文, 「<五十二病方>中膏脂類藥物的探時」, 馬王堆醫書研究組, 『湖南中醫學院學報 長沙馬王堆醫書研究專刊』 1 (1980).
62. 李學勤, 「馬王堆漢墓醫書校釋序」, 魏啓鵬·胡翔驊, 『馬王堆漢墓醫書校釋』 1 (成都: 成都出版社, 1992).
63. 林伯欣, 『痛史-古典中醫的生命論述』 (臺北: 東大圖書公司, 2013).
64. 張雷, 『秦漢簡牘醫方集注』 (北京: 中華書局, 2019).
65. 趙有臣, 「「五十二病方」中幾種藥物的考釋」, 『中華醫史雜志』 1985-2 (1985), 117-119쪽.
66. 周一謀·蕭佐桃, 『馬王堆醫書考注』 (重慶: 樂羣文化事業有限公司, 1989).
67. 陳劍, 「馬王堆帛書「五十二病方」, 「養生方」釋文校讀札記」, 『出土文獻與古文字研究』 第5輯,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13).
68. 陳耀鈞·閻頻, 「江陵張家山漢墓的年代及相關問題」, 『考古』 1985-12 (1985), 1124-1129쪽.
69. 何志國, 「西漢人體經脈漆雕再考」, 『四川文物』 2000-6 (2000), 6-11쪽.
70. 小曾戶 등, 『馬王堆出土文献譯注叢書·五十二病方』 (東京: 東方書店, 2007).
71. 赤堀昭, 「武威漢代醫簡について」, 『東方學報』 50 (1978), 75-107쪽.
72. 赤堀昭·山田慶児 編, 『新發現中國科學史資料の硏究 譯注篇』 (京都: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985).
73. Kuriyama, Shigehisa, “The Imagination of Wind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Conception of the Body,” Angela Zito and Tani E. Barlow ed., Body, Subject and Power in Chin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74. Li, Shizhen, Paul U. Unschuld trans., Ben Cao Gang Mu, Volume I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