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Med Hist > Volume 29(2); 2020 > Article
한국전쟁기 북한의 전시 보건의료체계 구축과 연변 조선인 사회의 지원†

Abstract

North Korea's health care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North Korean medical history and is also an appropriate research topic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s wartime system. However, previous studies on North Korean medical history has been focused on before and after the war. This study traces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North Korea's wartime health system to fill the gap in the literature, aiming to identify that the support of the North Korean community in China's Yanbian community was key to North Korea's wartime health system.
North Korea reorganized its health care system, centered on the military, such as establishing field hospitals concurrently with the outbreak of the war. However, as time went on, the North Korean health care project began to put an emphasis on protecting the lives and health of the civilians behind the frontline. In addition to the primary need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the hygiene and prevention project functioned as a means to control and mobilize the public by emphasizing broad public participation. Although North Korea tried to meet the demand for a large medical personnel through short-term training, medical personnel were always in short supply during the war.
During the war, it was the Korean society in Yanbian that replenished medical personnel in North Korea and provided a space for a relatively stable hospital operation. Numerous Koreans in Yanbian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s nurses, paramedic staff, transfusion donors, and army surgeons for North Korea. Such large-scale participation of medical personnel in Yanbian was based on the long-established medical exchanges between Yanbian and North Korea. Koreans in Yanbian also accommodated North Korean wounded, refugees, and war orphans and provided various medical assistance to them. During the war, Yanbian was a “secure rear” capable of performing medical actions that could not be done in North Korea.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North Korea's current participation in public health projects,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its health care sector, has its origins in the Korean War. Moreover, it demonstrates that North Korea's medical history needs to be viewed from an East Asian perspective, including the Korean society in Yanbian, rather than a national-only perspective. The application of this view to the analysis of North Korean’s health care system in other historical periods would facilitate richer discussions.

1. 머리말

올해로 발발 70주년을 맞는 한국전쟁에 관한 연구는 양과 질 모두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북한사 영역에서는 여전히 전쟁 발발을 둘러싼 국제관계와 북한 지도부의 권력관계 변화, 북한의 남한 점령정책과 휴전회담 전략 등 특정 몇몇 주제에 연구가 집중된 경향이 있다. 특히 전쟁의 당사자였던 북한의 전시체제와 전쟁수행, 그로 인한 북한사회 내부의 변화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즉, 한국전쟁기 북한 전 사회영역에서 형성된 전시체제의 구체상은 아직 베일에 싸여 있는 부분이 적지 않다.
이 가운데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전시체제 구축과정은 북한의 전쟁수행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소재다. 군 전투력의 보전·강화와 후방 민간인들의 원만한 전선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쟁 상황에 적합한 보건의료체계 마련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근대국가에서 보건의료는 개개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돌보는 것과 더불어 한 국가의 노동력과 전투력을 유지·신장하는 기능을 갖는데, 전쟁에서는 그러한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것이다(황상익, 2006: 36).
하지만 북한 보건의료 관련 선행연구들은 거의 대부분 전쟁 이전이나 전후(戰後)(박윤재·박형우, 1998; 박재형·김옥주·황상익, 2003; 신동원, 2003a; 신동원, 2003b; 황상익·김수연, 2007; 한선희·김옥주, 2013; 김진혁, 2014; 허윤정·조영수, 2014; 김근배, 2015; 고요한·김옥주·정준호, 2018; 곽희환·김옥주·정준호, 2018; 윤연하·김옥주·정준호, 2018; 정준호·김민규·김옥주, 2018), 혹은 현재의 모습만을 주목하였다(문옥륜, 2001; 최영인, 2005; 이철수, 2006; 이성봉, 2009; 김진숙, 2012; 이혜경 2013). 전시 보건의료를 다룬 연구일지라도 긴 시간대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부분적·개괄적인 언급에 그치고 있을 뿐 깊이 있는 고찰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황상익, 2006; 엄주현, 2014; 김진혁, 2017).
다만 최근 발표된 두 편의 연구는 한국전쟁기 북한의 보건의료체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한국전쟁으로 본격화된 동유럽 국가와 중국의 의료지원이 북한 보건의료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지적한 연구는 사회주의 진영의 대(對)북한 의료지원이 북한 보건의료체계를 지탱한 중요한 축이었음을 밝혔다(김진혁·문미라, 2019). 전쟁기에 이루어진 중국의 대대적인 의료진 파견, 의약품 원조 등이 북한의 전시 의료사업에 큰 도움을 주었다고 분석한 연구 역시 주목할 만하다(FAN, 2019). 그러나 두 연구 모두 전시 보건의료체계 자체가 연구 대상은 아니었다. 한국전쟁기 북한이 어떠한 보건의료체계를 만들어갔는가를 시야의 중심에 놓은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바 없는 셈이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연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하여 한국전쟁 당시 구축·운영된 북한의 보건의료체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부상병들에 대한 치료를 전담했던 야전병원의 숫자와 운영상태, 전시 의료인력 양성기관처럼 가장 기초적인 사실관계조차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자료를 검토하여 이러한 내용을 재구성하는 것에 주력할 것이다. 또한 한국전쟁 중 발표된 북한의 보건의료 관련 정책·지시를 파악하여 당시 북한이 방점을 두었던 보건의료사업과 이것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 연구에서는 중국 연변지역 조선인 사회의 북한에 대한 후방지원이 북한 전시 보건의료체계를 형성·운영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전역에서 항미원조운동(抗美援朝運動)이 대대적으로 전개되었고, 그 가운데서도 연변은 그 자체로 북한의 중요한 후방기지가 되었다. 그간 한국전쟁과 연변의 관련성에 주목한 연구들이 발표되었지만(염인호, 2010; 문미라, 2017; 김선호, 2018), 보건의료적 지원에 대한 고찰은 상대적으로 소략하다. 이 연구에서는 연변 조선인 사회에 주목함으로써, 일국사적 관점을 넘어서는 동아시아적 시야 속에서 북한의 보건의료체계를 조망해보고자 한다.
이상의 내용을 밝히기 위해 활용한 자료는 『로동신문』, 『조선중앙년감』, 『내각공보』와 같은 북한 공식 간행물, 한국전쟁기 소련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В.Н. Разуваев)의 보고서, 미군노획문서, 미국 의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위생방역사업 지침서 등이다. 전쟁 이후 복간(復刊)된 『인민보건』에서도 전쟁기 경험을 회고한 글들을 참고하였다. 연변 조선인 사회와 관련해서는 전쟁 당시 중국 동북지역에서 조선인을 대상으로 발간된 『동북조선인민보(東北朝鮮人民報)』 및 한국전쟁 참전 조선인들의 구술자료와 한국전쟁 회상기 등 연변 문헌을 활용하였다.

2. 북한 전시 보건의료체계의 형성과 역할

1) 보건의료 분야의 전시체제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북한은 다른 분야들과 마찬가지로 보건의료체계도 전쟁수행에 적합하도록 개편하였다. 전쟁 개시 나흘 후인 1950년 6월 29일, 전쟁 기간 동안 당과 국가사업을 총괄하는 군사위원회의 명령으로 「전방구호대를 조직할 데 대하여」를 발표한 것이 시작이었다. 이 명령으로 외과의사·간호사1) 등으로 구성된 전방구호대가 전선에 파견되어 부상병들을 치료하였다(조선중앙통신사, 1952: 45). 이어 8월 4일에는 군사위원회 명령 「전상자 치료사업 보장에 관하여」를 통해, 각지 요양소·휴양소·정양소 중 적당한 곳을 선택하여 조선인민군 후방병원을 설치하고 부상자 수혈을 위해 병원 단위로 혈액을 확보할 대책을 세우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요양소·휴양소·정양소뿐 아니라 점령한 남한지역 병원들 중 일부도 후방병원으로 개편되었다(보건부 김일성동지보건사상연구실, 1990: 109).
전쟁 발발 초기 야전 이동외과병원 5개소, 후방병원 11개소가 설립되었지만 전쟁수요를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때문에 전쟁 중 종합병원을 토대로 일련의 병원들이 설치되었다(군사편찬연구소, 2001a: 177). 전선이 어느 정도 고착화되는 1951년 10월 20일 현재 조선인민군 의료보건기관 현황을 살펴보면, 이동야전병원 16곳, 후송병원 5곳, 이동야전내과병원 2곳, 경상자병원과 이동야전전염병병원 각 1곳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밖에 6대의 위생열차, 12개소의 후송병 수용소와 한 곳의 군 요양소, 해군 독립군사병원도 갖추고 있었다. 의료보건기관에 소속된 병력은 9,024명이었다(군사편찬연구소, 2001b: 180-187).
병원의 운영 상황은 매우 열악했다. 1951년 4월 현재 조선인민군 군의국(軍醫局) 현황에 대한 보고에 따르면(군사편찬연구소, 2001a: 175-176), 군의국은 군사훈련을 전혀 받지 못한 의료병력으로 충원되었고 상당수는 의료교육도 마치지 못한 상태였다. 의과대학 4~5학년 학생들이 군의관으로 활동하였으며 심지어 2학년 학생도 준군의관으로 근무하였다. 간호사와 위생지도원의 상황도 마찬가지여서, 이들은 기본적으로 전쟁 중 20~30일의 단기과정으로 양성된 사람들이었다. 군대의 위생방역대장, 사단 군의(軍醫) 및 병원 책임자 등 군의국 지도급 병력들조차도 위생실습법, 감염병 예방법과 같은 기초적인 의학지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부상병들에 대한 단계적 치료체계 조직 및 방역을 극히 곤란하게 하였다.2)
개별 병원들의 위치와 구체적인 운영 방식 등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지만, 조선인민군 제34호 병원에 대한 증언이 남아 있다(심지연, 2001: 224-234). 김일성의 지시로 평안북도 강계군 만포에 설치된 이 병원은 부속으로 부식물 공장을 운영하여 환자와 의료진의 반찬을 자체적으로 조달할 만큼의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수용 인원도 5,000명이나 될 정도로 규모가 컸다. 하지만 수용 인원 5,000명은 그만큼의 침상을 구비하고 있다는 뜻이 아니라, 해당 병원에서 치료하는 환자의 수를 의미하였다. 이 병원은 환자를 민가(民家)의 방에 2~4명씩 수용해놓고, 의사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치료해주는 시스템으로 운영되었다. 병실로 쓰인 민가는 1백 리(里)에 걸쳐 연달아 있었다. 중학교 교실 하나당 70~80명의 환자를 수용해 진료하는 ‘중학병동’도 운영하였다. 다른 후방병원들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후방의 민간인들을 위한 대책으로는, 우선 1950년 6월 27일 군사위원회 직속으로 후방구호위원회가 조직되어 전선에서 들어오는 부상병과 함께 후방 민간인들에 대한 치료와 위생방역을 담당한 것을 꼽을 수 있다(홍순원, 1981: 491). 미군에 의한 폭격이 극심해지던 7월 30일에는 군사위원회 명령 「구호사업 보장에 관하여」를 발표하여, 미군의 공습으로 다친 외래환자의 치료비를 무상으로 하는 조치를 취했다. 단, 입원환자에 대한 치료비 및 약값은 시·군 보건과장이 참석한 구호사업보장위원회에서 지불 능력이 없다고 인정한 환자에 한해서만 무료로 하여 차등을 두었다.3) 김일성은 8월 29일의 연설 「후방을 튼튼히 보위하자」에서도 폭격으로 피해를 받은 민간인들을 적시에 구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각 지방에 구호대를 조직할 것을 지시하였다.4)
후방 민간인들에 대한 의료대책은 10월 이후 북한지역이 직접적인 전장(戰場)이 되자 더욱 시급한 현안이 되었다.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북한의 보건의료기관들이 심각하게 파괴되고, 북한 당국이 전쟁 전 해소되었다고 선전한 무의면(無醫面)도 다시 생겨나는 등 의료체계 전반이 붕괴되었기 때문이다. 북한은 11월 20일 내각 결정 제175호로 「전재민 구호대책에 관한 결정서」를 채택하여 전재민 치료에 주력하는 동시에 감염병 예방에 만전을 기할 것을 지시하였다(조선중앙통신사, 1952: 123). 12월 12일 공포한 「해방지구 인민생활 안정을 위한 대책에 관한 결정서」에서도 자신들이 되찾은 지역에서 1951년 1월 10일까지 50개 이상의 간이진료소를 설치할 것을 명령하는 등(조선중앙통신사, 1952: 124) 전재민 구제와 의료기관 복구에 총력을 기울였다.
의약품과 의료자재는 거의 대부분 외국의 원조로 충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동유럽 국가 중 가장 이른 시기인 1950년 7월 29일에 적십자의료단을 파견했던 헝가리의 경우, 수용 환자 1,000여 명 규모의 의료시설을 운영하기 위한 장비와 의약품을 가지고 입북했다(김진혁·문미라, 2019: 151). 전시 보건사업의 정비·강화를 주문한 1950년 12월 28일자 내각 지시에는 긴급한 의약품 및 의료자재를 이듬해 1월 말까지 중국으로부터, 2월 말까지는 대소(對蘇)무역으로 수입해 확보할 것을 지시하였다. 신의주와 만포 등 국경지역에는 의약품 창고를 설치하여 수입 의약품 인수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다.5)
1951년 1월 25일에는 각 도·시·군·면의 의료기관을 시급히 정비하고, 의료기관이 없는 무의촌에 이동치료대를 조직·파견하여 모든 전재민들을 무상으로 치료하는 조치를 발표하였다(조선중앙통신사, 1952: 125-126). 이와 함께 각 병원과 진료소에서는 주민과 기관·기업소 근로자로 구호대를 조직하고, 구호대원들이 구급처치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민간인을 활용한 1차 구급처치를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폭격에 대비해 입원실과 치료시설을 지하나 동굴에 소개(疏開)하여 의료인프라를 최대한 보호하고자 하였다(황상익, 2006: 54).
이처럼 북한의 전시 보건의료는 무엇보다 후방 주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였다. 전쟁에 필요한 물자 생산을 보장하고 끊임없이 늘어나는 군인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서는 후방의 안전을 담보하는 일이 가장 필요했기 때문이다. 즉, 전시 보건의료 부문의 기본 과업은 전쟁의 종국적 승리를 위해 장병과 후방 근로자들의 생명을 구원하고 그들의 건강을 세심하게 보살피는 것이며, “모든 것을 결정하는 인적 후비(後備)를 튼튼히 보위하는 것”이었다.6)

2) 위생방역사업의 전개와 의미

북한은 개전 초기부터 감염병 확산 방지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대부분의 전쟁에서 전투에 의해 생기는 사상자보다 감염병 피해가 훨씬 컸고, 북한과 같이 물적·인적 자원이 빈약한 상황에서 감염병이 만연한다면 궤멸적인 피해가 자명했기 때문이다. 일례로 1951년 4월 군대 내 감염병 희생자는 전투 사상자의 수와 같았으며, 1952년 조선인민군 제8사단의 30%가 장티푸스와 발진티푸스로 병상에 있고 60%의 사망률을 보였다고 보고되었다. 게다가 각지 보건의료시설·조직이 파괴된 상황과 의료품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부대의 이동은 곧 감염병의 이동과 다름없었다(김진혁, 2017: 73).
감염병 유행을 막기 위해 북한은 1951년 1월 13일 춘·하기 방역사업에 대한 제반 대책을 강구하였고,7) 1월 24일에는 군사위원회 명령에 따라 군대와 민간을 총망라한 국가비상방역위원회 설립이 결정되었다(조선중앙통신사, 1952: 455). 국가비상방역위원회는 종전까지 내각에 소속되어 있던 중앙방역위원회를 개편하여 군사위원회에 직속시킨 것으로, 북한 내 모든 부문·단위의 위생방역사업을 통일적으로 지도하는 기구였다. 이 위원회에는 막강한 권한이 주어졌다. 군대, 내무기관, 각급 정권기관 및 각 사회단체는 방역사업과 관련해 위원회의 명령에 복종해야 했으며, 군대와 민간을 막론하고 어떤 교통수단이든지 위원회 사업에 우선적으로 동원·이용할 수 있었다.8) 이는 북한 지도부가 감염병 차단을 얼마만큼 중시했는지 잘 보여준다.
감염병 관련 실무를 담당할 방역대의 사업요강도 새로 만들어졌다.9) 방역대는 중앙과 도·시·군 각급 보건행정기관에 직속하였고, 의사와 펠셀(Feldsher, 助醫師),10) 간호사와 소독원 등으로 구성되었다. 방역대 산하에는 검병반(檢病班), 격리수송반, 소독반, 세균검사반, 치료반, 경비반, 선전기록반이 있었고, 이들의 업무에 필요한 소독차나 위생차, 위생복, 환자용 침구와 의복, 치료약과 소독약, 각종 진단액 및 혈청이 보급되었다. 국가비상방역위원회와 마찬가지로 방역대에도 여러 가지 강력한 권한이 부여되었다.11)
각급 방역위원회·방역대를 도와 감염병 환자의 조기 적발 및 격리와 소독 등을 시행하는 위생방역소·위생초소도 세워졌다. 위생초소에는 구급약, 위생복, 마스크, 들것 등이 배치되었고 초소원은 5명 정도로 구성되었다. 초소원들은 관할 구역 내 주민들을 동원하여 청소와 소독을 조직적으로 추진하고 검병자 조사와 위생좌담회 개최 등을 진행하였다.12) 전화(戰禍)를 피해 후퇴했다가 고향으로 돌아오는 사람들에 대한 방역대책도 실시되어, 1951년 4월 10일까지 강원도와 황해도에 귀환민검역소 또는 수용소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곳에서는 최소 일주일의 검역기간을 두고 귀환자들에 대한 검역을 철저히 실시할 것이 규정되었다.13) 평안남도, 강원도, 황해도, 함경남도에서는 각 도마다 의사 2명, 펠셀 4명, 소독원 4명, 접종원 4명으로 구성한 이동방역대를 한 대씩 조직하여 방역을 강화하였다.14)
이리하여 각 시·군·면·촌락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위생방역망이 형성되었으나 그 효과는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황해도 신천군 가련면의 상황을 살펴보면, 1950년 6월부터 1952년 3월까지 인구의 20%가 재귀열(再歸熱), 40%가 발진티푸스, 5%가 이질(痢疾)에 감염되었다. 1952년 3월 31일 현재 재귀열과 발진티푸스가 황해도 전체 지역에 퍼졌고 옹진군 소면에서만 60명이 넘게 발병하였다(김진혁, 2017: 73). 김일성도 1952년 1월 20일 보건성 간부들에게 내린 지시에서 “지금 중앙으로부터 지방에 이르기까지 위생방역기관들이 조직되어 있으나 그 역할이 미약”하다고 질책하였다.15)
전시 위생방역사업에서 북한이 더욱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대중의 자각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였다. 당국은 대중을 대상으로 한 위생선전·계몽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위생선전대를 조직하여 각 지역에 파견하였다. 위생선전에는 조선민주청년동맹(민청)과 조선민주여성동맹(여맹)을 위시한 사회단체들이 적극 참가하였다. 이들의 지도 아래 위생초소원·위생방조대원들이 호별 방문, 5호담당 위생좌담회 등 다양한 형식으로 주민들 속에 들어가 위생선전사업을 활발히 전개하였다(홍순원, 1981: 496-497).
마을 단위에서의 위생선전 업무는 민주선전실장이 직접 책임졌다. 민주선전실에는 방역캠페인의 의의를 전 주민에게 해설하고 정기적으로 위생좌담회를 개최할 임무가 부과되었고, 이에 따라 민주선전실이 위생강연회와 좌담회 계획을 포함한 마을 내에서의 모든 선전사업을 총괄하였다(보건성 위생선전부, 1952: 16). 이를 위해 보건성은 위생선전요강을 작성하여 제공하였고, 문화선전성은 이를 각 민주선전실에 출판·공급하였다.16) 북한 대중정치문화사업의 중심이자 전초기지인 민주선전실이 전시 위생선전사업의 핵심 기지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위생선전에 널리 이용된 것은 신문·잡지를 비롯한 인쇄매체였다. 『로동신문』에는 주민들을 위생방역운동으로 이끌기 위한 사설과 기사들이 자주 등장하였다.17) ‘철옹성 같은 방역진’, ‘각지의 방역태세 확립’, ‘적의 세균 만행을 분쇄하는 우리 방역대원들의 활동’과 같은 고정꼭지를 마련하여 각 지역별 방역사업 실황을 보도하기도 하였다.18) 『위생선전자료집』, 『전염병상식일람표』, 『독가스상식』, 『방역지침』 등 위생선전용 소책자들도 출판·보급되었는데, 뒤에서 살펴볼 1951년 동기방역캠페인 기간에 발간된 관련 소책자만 해도 6,000부에 육박했다. 이 기간 동안 당국은 이러한 소책자와 보급과 함께 20만 회가 넘는 강연회·좌담회를 개최함으로써(조선중앙통신사, 1952: 455), 위생선전사업 효과의 극대화를 꾀하였다.
위생방역사업 중 가장 광범위한 대중들을 효율적·직접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은 ‘위생방역주·월간’을 설정하여 집중적인 위생캠페인을 벌이는 것이었다. 대표적인 것이 군사위원회 명령 「위생방역사업 강화와 동기방역깜빠니야 조직 실시에 관하여」에 근거해 시행된 1951년 동기방역캠페인이다.19) 캠페인 기간은 10월 한 달이었고, 국가비상방역위원회는 캠페인에 북한 전 주민을 조직·동원하여 소독과 검역을 실시하였다. 이 기간에 각 도·시·군·면·촌락에 파견된 방역대, 소독대, 보조소독대는 24,531개(총인원 83,814명)에 달했고, 철저한 검역을 위해 5,934명으로 구성된 1,419개의 이동검역대도 편성되었다(조선중앙통신사, 1952: 455).
해당 캠페인의 주요 목표는 당시 가장 심각한 감염병이었던 재귀열과 발진티푸스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1951년 1월부터 당시까지 재귀열, 발진티푸스 환자가 전체 감염병 환자 수의 90%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병들을 전염시키는 주요 요인인 ‘이’를 박멸하는 것이 캠페인의 중점으로 떠올랐다(국립출판사, 1951: 2). 캠페인 결과, 예년에는 10월보다 11월에 감염병 환자 발생 수가 2~5배로 증가하던 것이 1951년에는 오히려 88% 감소하였고 환자의 적발 일수도 단축되었다(조선중앙통신사, 1952: 455). 이에 고무된 북한은 다음 해에는 기간을 두 배로 늘려 준비기간(1952.10.1~31)과 돌격월간(1952.11.1~30)을 설정하고 같은 성격의 캠페인을 전개하였다(보건성 위생선전부, 1952: 8-20).
위생선전을 골자로 하여 대중을 위생방역사업에 동원하는 형태는 전쟁 이전에도 확인된다. 북한은 해방 직후부터 대중들의 ‘전통적’ 위생관을 개혁하고, 대중을 국가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 동시에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인민’ 의식을 창출하고자 하였다(김진혁, 2014: 274-281). 위생방역은 검열과 단속을 기본으로 한다는 점에서 국가가 개인의 신체에 직접 개입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었다.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은 이와 같은 생명정치(biopolitics) 기제를 강화하여 대중 동원과 통제를 더욱 전면적이고 용이하게 만들었다.20) 그리고 전쟁기에 전면화된 위생방역사업과 이를 이용한 대중 동원은 전후 위생문화사업의 기원이 되었다.21)

3) 보건의료인력의 단기 양성

위에서 살펴본 전시 보건의료체계로의 개편과 위생방역사업을 원만히 추진하려면 많은 인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전쟁은 기존의 의료인력 양성 시스템을 유지할 수 없게 하였다. 예컨대 1949년 1,810명이었던 의학 대학 재학생은 1951년 348명으로 급감하였고, 같은 기간 의(약)학전문학교 재학생 역시 2,524명에서 785명으로 줄어들었다. 입학생의 경우 1951년까지는 의과대학 217명, 의(약)학전문학교 475명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1952년에는 단 한 명의 입학생도 없었다. 졸업생의 상황은 더욱 심각한데, 1949년 의과대학은 51명, 의(약)학전문학교는 287명의 졸업생이 있었으나 1951~1952년 2년간 의과대학과 전문학교 모두 한 명의 졸업생도 배출하지 못하였다(김익복, 1957a: 16).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은 전쟁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단기 의료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했다. 간호사, 펠셀, 기타 의료인력들을 짧은 기간 내에 대규모로 양성하기 시작한 것이다. 우선 당국은 1950년 12월 27일 방역대와 이동위생치료대에 소요되는 의료인력(펠셀 30명, 방역지도원 20명)을 1개월간 양성하는 단기보건기술훈련소를 조직할 것을 명령하였다. 또 초급·고급여자중학교 학생들 중 우수한 자 50명을 선발하여 훈련하는 2개월 코스의 양성기관을 1951년 2월 1일부터 개강하기로 하였다.22) 이 단기 ‘간호원양성소’는 계획대로 설치되어 400여 명의 간호사를 양성하였고, 3월 1일부터는 펠셀양성소를 개설하고 3개월간 교육하여 ‘전시펠셀’을 배출할 계획이었다.23)
단기양성소들은 새로 지어진 것도 있겠지만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의료교육기관을 활용하거나 관련 연구소 등에 부설양성소를 두는 형태가 더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위에서 언급한 단기 ‘간호원양성소’도 각 도(道)의 기존 간호원학교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보건성 산하 중앙미생물연구소도 부설양성소에서 4회에 걸쳐 200여 명을 교육하였다(최형규, 1957: 18). 이렇게 배출된 보건의료인들에게는 ‘전시자격’이라는 이름의 의료자격증이 주어졌고(김익복, 1957b: 10), 이들은 바로 업무에 투입되었다.
1951년 5월에는 보건간부 단기 양성사업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지시가 공포되었다.24) 이 지시에서는 의료인력 부족에 대한 대책이 시달된 바 있으나 전쟁으로 인한 의학교육기관 운영 중단이 계속해서 난관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휴교 중인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학교들의 역량을 정비해 1951년 7월 1일부터 보건간부 단기 양성사업에 투입할 것을 지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前) 의과대학 교원으로 현재 군의국 및 기타 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간부들과 교육성 산하에 집결한 의학과목 교원들을 보건성에 파견할 것 등이 결정되었다. 이들 교육기관에는 학용품과 침구, 기타 생활필수품을 우선적으로 배급하기로 하였다.
단기 의료인력 양성과정을 통해 전시 보건의료사업에 투입된 인원은 간호사를 제외하고 최소한 3,000여 명을 넘었다. 1951년에 3,489명이 입학하여 1,938명이 졸업하였고, 1952년에는 입학자 1,197명, 졸업자 1,748명, 1953년에도 1,111명이 입학하여 246명이 졸업하였으므로(김익복, 1957a: 17) 졸업자만 따져도 4,000명에 가깝다.25) 하지만 양적인 면과는 별개로 이들의 의료기술 수준이 높지 않았으리라는 점은 쉽게 추정할 수 있다. 김일성은 이를 의식한 듯 단기강습소를 통해 의료인력을 대대적으로 양성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하면서도, 모자라는 인력을 “숫자상으로만 채우려고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질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26)
이렇게 단기 의료인력 양성이 광범위하게 전개되는 한편 정규 의료교육기관에서의 교육도 중단되지 않았다.27) 북한은 1951년 가을부터 각 학교를 일제히 개교할 것을 결정하였고, 각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학교도 후방의 안전지대로 소개되어 의료인력 양성을 계속하였다(리명구, 1958: 20-21). 함흥의과대학의 경우 폭격으로 교사(校舍) 등이 모두 파괴되었으나 1951년 함흥시 운흥동에 방공호를 파고 지하강의실에서 교육을 속개하였으며, 1952년 12월에는 청진의과대학과 합동하여 함경북도 온성군 석수리로 재차 이전한 후 그 곳에서 교육과 연구를 지속하였다(량철환, 1957: 13).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쟁 중 의료인력은 늘 부족하였다. 이를 어느 정도 극복하게 해준 것은 연변 조선인 의료인력의 참전이었다. 전쟁 발발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북한의 의료인력 수요는 상당 부분 연변을 통해 채워질 수 있었던 것이다. 이미 의학지식을 갖고 있었던 데다 언어적으로 의사소통에도 문제가 없는 연변 조선인 의료인력은 북한의 보건의료 분야 인력난을 극복하게 해줄 구세주 같은 존재였다. 이에 대해서는 장을 달리하여 자세히 살펴보자.

3. 연변 조선인 사회의 의료인력 파견과 후방 의료지원

1) 연변 의료인력의 한국전쟁 참전

한국전쟁 기간 동안 연변 5개 현(縣)에서 5,000여 명에 가까운 조선인 청년들이 입대하여 군인이 되었고, 5,740명이 통역원·운전수 등 비전투인원으로 한반도에 들어갔다(연변당사학회 편찬, 1989: 51). 이 비전투인원 중 의료인력은 간호사가 898명, 담가대(擔架隊, 들것으로 부상병을 운반하는 대원)가 433명으로, 전체의 23%를 차지하였다.28) 입북하지는 않았지만 급혈자(給血者)를 자청하여 전선의 의료역량을 강화하는 데 일조한 사람들도 있었다.29) 수혈대(輸血隊)로 불린 급혈자들은 옌지(延吉)초급중학교와 연변사범학교 교직원 및 학생의 경우처럼 대규모로 조직되기도 하였다.30)
연변에 속하지는 않지만 조선인이 많이 거주했던 단둥(丹東)에서는 총인원 260명으로 방공구호대대(防空救護大隊)가 만들어졌다. 방공구호대대 산하에는 6개의 구호중대가 편성되어 있었고 수용소 3곳, 지하수술실 1곳이 운영되었다. 방공구호대대는 점차 규모를 확장하여 가도구호원(街道救護員) 768명을 갖추게 되었다. 이들은 1951년 4월 미군의 폭격으로 부상당한 215명을 치료하였다. 단둥은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도시였기 때문에 이곳의 민간인들은 방역에도 적극 참여하였다(FAN, 2019: 42).
연변 의료인으로서 조선인민군에 참군한 사람도 있었다. 1949년 4월 연변대학 의학부 부학부장을 역임하다가 그해 7월 조선인민군 제5사단 위생부장으로 배치된 원일우(元逸愚)가 대표적이다. 전쟁이 시작되기 전부터 북한에서 근무하던 원일우는 전쟁 기간 동안 군의국 치료호송부 부장, 최고사령부 주(駐)중국 지린성(吉林省) 후방병원 관리처 부처장 등 조선인민군의 핵심 의료인력으로 활동하다 1956년 중국으로 돌아갔다(鄭鳳霞 主編, 1995: 10). 1950년 8월부터 조선인민군 제17기계화사단 33연대 주치의, 군의소(軍醫所) 소장, 군의장을 역임한 박영학(朴永學), 1950년 12월에 중국인민지원군 제3병단 사령부 군의로 임명되어 한국전쟁에 참전한 장원철(張元哲)도 모두 연변에서 태어난 조선인이었다(鄭鳳霞 主編, 1995: 32, 93).
연변에는 조선적십자회 제12전시간호원학교(第12戰時看護員學校)라는 간호사 양성 교육기관도 설치되었다. 북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단기 의료인력 양성소가 연변에도 세워진 것이다. 옌지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옌지시전시간호학교로도 불린 이 학교는 1950년 8월 하순 조선인민군 제8군단이 인원 보충과 훈련 등을 행하기 위해 옌지로 철수했을 때 이들과 함께 들어왔다(劉建林·宋昀航, 2016: 149). 이곳에서는 1950년 11월 초부터 1951년 1월 8일까지를 1기로, 1월 9일부터 같은 해 4월 10일까지를 2기로 하여 한 기수당 500명씩 총 1,000여 명의 간호사를 양성하였다(리해식, 1994).
제12전시간호원학교에 대한 교육은 연변대학 의학부에서 전담하였다. 학생들은 전시외과학을 집중적으로 공부하였는데 이 과목은 당시 연변대학 의학부 학부장이었던 노기순(盧基舜)이 직접 강의하였다. 연변대학 의학부에서는 조선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 소속 군인을 초청하여 학생들에게 방공지식을 전수하기도 하였다. 연변대학은 제12전시간호원학교 학생들의 사상교육에도 힘 쏟는 한편 1951년 1월에는 성적 우수자에게 장학금을 지급하여 학습 의욕을 고취하는 등 단순히 의학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았다(劉建林·宋昀航, 2016: 151-152).
제12전시간호원학교 학생들은 모두 연변을 포함한 중국 동북지역에서 초급중학교를 졸업한 조선인 여성이었다(劉建林·宋昀航, 2016: 153). 이들은 여기에서 다양한 의료지식 습득과 사상교육을 마치고 졸업한 후, 전선으로 파견되어 조선인민군이나 중국인민지원군의 후방병원, 위생대 등에서 활동하였다. 일례로 이 학교 졸업생 천월순(千月順)은 1935년 옌지시에서 출생한 조선인으로, 1951년 1월 2기로 입학하여 같은 해 5월부터 중국인민지원군 11병참의원(兵站醫院)에서 간호사로 근무하였다(鄭鳳霞 主編, 1995: 1).
연변대학 의학부 교원들은 제12전시간호원학교에 대한 교육 외에도 미국의 ‘세균전’을 비판하며 북한을 측면에서 지원하였다.31) 중국은 1952년 2월부터 미군이 북한 일대뿐 아니라 중국 동북지역에도 세균무기를 투하했다고 주장하며 강력한 규탄에 나섰다.32) 이러한 상황에서 노기순, 연변대학 의학부 미생물학 강좌장(講座長) 강순구(姜順求), 연변대학 의학부 부속의원 원장 고응민(高應旻) 등은 『동북조선인민보』에 세균전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맞서 방역을 철저히 해야 한다는 요지의 글을 발표함으로써 ‘반세균전(反細菌戰)’ 분위기를 고조시켰다.33)
미군이 투하했다고 주장하는 세균무기를 조사하고 이에 맞는 방역대책을 수립하는 것도 연변대학 의학부 소속 미생물교실의 몫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1952년 6월 25일 옌지시에서는 연변위생방역소를 설치하고, 별도로 연변방역대대를 구성하여 산하에 3개 중대를 두고 방역활동을 펼쳤다. 연변지역 의료계는 같은 해 10월 한 달 동안 ‘반세균전 그림·식물 전람회’를 개최하여 주민들 사이에 세균전에 대한 경각심과 반미감정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하였다(尹宗柱 主編, 2012: 103-104).
한국전쟁 중에는 연변만이 아니라 중국 전역에서 의료진이 조직되어 중국 동북지역과 북한에서 활동하였다. 중국은 전쟁 초기부터 의생부(醫生部)·항미원조총회(抗美援朝總會)·적십자회총회 등의 기구를 통해 각 성시(省市)의 의료인력을 동원하였다. 중국 대도시에서는 지원의료대, 수술대, 공공위생대와 방역대를 조직하여 북한 및 중국 동북지방으로 파견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중국 의료인력이 북한에 들어가 각지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내용은 『로동신문』에도 빈번하게 게재되었다(김진혁·문미라, 2019: 164-165). 정전 때까지 중국 전역에서 모집된 의료인력은 6,000여 명에 달했다(朱繼光, 2011: 79).
그렇다면 연변 의료인력의 한국전쟁 참전과 중국 전역에서의 그것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먼저 연변의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한 참전의 적극성을 들 수 있다. 연변은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었기 때문에 언제든 전쟁의 포화 속에 휘말려 들어갈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중국 다른 지역 의료인들이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정신에 따라 ‘이웃 나라’ 북한을 돕자는 정서를 가지고 있었다면, 연변 조선인들에게 북한을 지원하는 것은 곧 ‘자신의’ 생활터전을 지키는 일이었다. 북한과 가까웠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단시간 내에 보다 많은 인원의 참전이 가능하기도 했을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연변 의료인력의 참전이 이전부터 진행된 연변과 북한 간 의료교류의 토대 위에 있었다는 점이다. 북한은 국공내전 시기 중국공산당을 지원하기 위해 북한의 의사들을 연변에 파견한 적이 있었다(김선호, 2017: 135-136). 해방 후 연변의 용정의과대학에서 근무하다가 전쟁 발발 전 이미 조선인민군 군의로 자리를 옮긴 이들도 있었다(문미라·신영전, 2017: 250-251). 연변대학 의학부 역시 1949년 7월 평양의과대학을 방문·참관하고 그곳에서 사용하던 교재를 가지고 귀국하는 등 북한의료계와 교류해왔다(崔昌海 主編, 2003: 244). 이렇듯 해방 직후부터 축적된 의료교류는 절차적인 측면에서 연변 조선인 의료인력의 참전을 용이하게 하고, 심리적으로도 북한과 친밀감을 형성해왔던 이들의 참전을 추동했을 가능성이 크다.

2) 재(在)연변 후방병원의 운영과 기타 의료지원

연변은 북·중 접경지대이자 조선인(족)의 집단 거주지다. 이 같은 지리적 이점과 특수한 위상으로 인해 한국전쟁 당시 수많은 부상병들이 연변으로 이동해 전쟁을 피하고 치료를 받았다. 중국의 지방정부인 지린성인민정부는 일찍이 부상병초대소 설립에 관한 명령을 발표하여 이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34) 이 명령에 근거하여 지린성 내에 9곳의 부상병초대소가 설치되었는데, 그중 투먼(圖們), 옌지의 차오양촨(朝陽川), 안투(安圖), 왕칭(汪淸), 둔화(敦化) 등 5곳이 연변에 속하였다.
부상병초대소 운영의 핵심 주체는 연변여성위원회였다. 북한의 여맹과 유사한 단체인 연변여성위원회는 “모든 것은 부상병을 위하여”, “모든 것은 전생의 승리를 위하여”라는 구호를 앞세우고 연변지역 여성들을 널리 동원하였다. 연변 측 통계에 따르면, 연변의 5개 부상병초대소에서는 전쟁 중 부상병 열차 500대를 맞이하였는데 여기에 동원된 여성의 연인원은 18,000명을 상회하였다(정협 연변조선족자치주 문사자료위원회, 2002: 297-298). 연변 조선인 중 최고위 간부로서 중국공산당 연변지구위원회 제1서기를 맡고 있던 주덕해(朱德海)도 옌지에 부상병이 도착할 때면 부상병초대소로 나가 부상병들을 맞이하고 초대소 근무자들을 격려하였다(강창록·김영순·이근전·일천, 1992: 195-196).
연변으로 이동한 부상병들은 연변 각지의 병원으로 보내져 치료를 받았다. 연변의 기존 병원들이 북한의 전쟁수행을 위한 후방병원으로 기능한 것이다. 예컨대 당시 연변에서 비교적 규모가 크고 의료진 역량도 우수하다고 평가받았던 옌지육군병원(현재의 중국인민해방군 223병원)에서 수많은 조선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 부상병들이 치료를 받았다. 어떤 때는 이곳에 하루에 몇 만 명의 부상자가 몰릴 때도 있었다. 둔화현에서는 현(縣)의 당위원회 건물 마당을 후방병원으로 내어주었고, 천주교회당과 학교도 병실로 쓰도록 조치하였다(정협 연변조선족자치주 문사자료위원회, 2002: 295-297).
연변 후방병원에서 치료한 조선인민군 부상자는 1950년 하반기에만 50,000여 명에 달했다. 연변 조선인들은 위문공연단을 꾸려 후방병원에 입원한 북한 부상병들을 위로하는 공연을 열기도 하였다. 병실 부족으로 연변에서 소화하지 못한 부상병은 중국 화둥(華東)지역으로 이송되었고(FAN, 2019: 43), 연변에 속한 소도시에서 치료가 어려운 중증 부상자들도 창춘(長春), 선양(瀋陽) 등의 대도시로 후송되어 더욱 나은 환경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35)
연변을 비롯한 중국 동북지역에는 조선인민군 소속 병원도 이전해 의료활동을 지속하였다. 전쟁 발발 당시 원산에 있던 해군중앙병원은 조선인민군 총퇴각 시기 단둥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다시 룽징(龍井)으로 이전하여 2개월간 머물렀다.36) 비슷한 시기 조선인민군 상이군인휴양소도 둔화와 인접한 자오허(蛟河)에 있었다. 이곳에는 조선인민군 영관급 장교 중 부상자가 이송되어 휴식을 취했다.37) 또 1950년 11월 현재 조선인민군 제65호 의원은 창춘 부근의 더후이(德惠)에 위치하였고, 위수현(楡樹縣)에도 조선인민군 병원이 있었다. 이곳에서 치료받고 완치한 사람들은 다시 입북하여 전쟁을 치렀다.38)
북한과 매우 멀리 떨어진 헤이룽장성(黑龍江省) 우창현(五常縣) 부근에서도 조선인민군 병원을 찾아볼 수 있었다.39) 헤이룽장성에서 조선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던 무단장(牡丹江)에 조선인민군 부상병들이 들어왔음은 물론이다. 연변에서와 마찬가지로 무단장에서도 조선인 학생들을 조직하여 부상병을 위문하고, 수혈대를 결성하여 부상병들에게 헌혈하도록 하였다(김우종 구술, 2019: 107). 이 조선인민군 병원들은 직접적인 전선에서 벗어나 치료에 전념할 수 있는 공간, 즉 안전한 후방을 찾아 연변으로 이동한 것이었으므로 조선인민군 소속 병원도 넓은 의미에서 재(在)연변 후방병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변에 있었던 조선인민군 소속 병원과 부상병 관리는 후방사령부에서 전담하였다. 후방사령부는 중국 동북지역으로 후퇴해오는 조선인민군, 당조직, 정부기관, 북한 난민과 전쟁고아 등을 관리하기 위해 1950년 10월 지린성 퉁화(通化)에 설치되었다(김선호, 2018: 213). 후방사령부가 위치한 퉁화는 북한 지도부의 피난처였던 자강도 만포·강계지역과 가장 가까운 도시였다. 후방사령부의 임무 중 하나가 바로 퇴원한 군인의 부대 편성과 야전병원 운영 등 동북지역으로 철수한 병원에 대한 관리였다(김중생, 2000: 227). 후방사령부 산하에 작전국, 전투훈련국, 정찰국 등과 함께 군의위생국(軍醫衛生局)이 있었다는 증언으로 미루어 보면,40) 이 군의위생국에서 해당 업무를 전담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연변에는 부상병 외에 북한 난민과 전쟁고아들도 몰려들었다. 1953년 3월 동북지역 지방행정기구가 중국 중앙 정무원에 올린 보고문에 따르면 한국전쟁 발발 이후 연변에 유입된 북한 사람은 11,000여 명이었고,41) 중국정부가 공식적으로 수용한 전쟁고아만 1952년 3/4분기를 기준으로 23,000여 명에 달했다(군사편찬연구소, 2001b: 14). 중국정부는 연변 각지에 북한난민접대소와 전쟁고아 교육기관을 설치하여 이들을 관리하였다. 난민들은 연변에 도착하자마자 먼저 접수기관에 가야 했는데, 상처를 입거나 병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여기에서 바로 후방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았다(FAN, 2019: 45).
전쟁고아들에게는 더욱 세심한 의료적 배려가 있었다. 이들은 전쟁 중 부모를 잃고 제대로 먹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대부분 여러 질병에 노출되어 있었다. 중국정부는 북한 전쟁고아들이 도착하면 우선 신체검사를 통해 건강을 체크하고 검역, 소독, 이발, 목욕 등을 시켜주었다(손춘일, 2015: 172). 이후에도 기관에 수용된 아동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신체검사를 시행하고 위독한 병이 있는 아이들은 창춘, 베이징 등지의 대도시로 보내 제때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정협 연변조선족자치주 문사자료위원회, 2002: 285).
둔화현의 사례는 전쟁고아에게 취해진 의료지원의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하게 해준다. 둔화현 북한 전쟁고아 수용기관인 ‘조선초등학원’에서 근무했던 한 중국인은, 장기간의 방공호 생활로 아이들이 처음 학교에 왔을 때 영양실조를 앓았고 몸에 기생충이 많았다고 회고했다. 중국정부는 매주 한 번씩 수용된 고아들의 위생 상태를 점검하였다. 검사 중에 병에 걸린 아이를 발견하면 바로 현지 병원으로 이송하였고 중환자가 발생하면 인근 주타이(九台)에 있는 큰 병원에 보내 치료받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연변 각지 수용시설에서 집단 거주한 북한 전쟁고아들은 연변에 머무는 동안 감염병에 걸린 적이 없는 것으로 기록되었다(FAN, 2019: 45-46).
한국전쟁에서 연변이 북한의 후방으로 기능했다는 사실은 이미 몇 편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다(문미라, 2017; 김선호, 2018). 전쟁으로 북·중 국경은 무의미해졌고 조선인 집단 거주지였던 연변은 그 특수한 위상으로 인해 후방기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변 의료인력의 참전과 후방병원의 존재, 북한 난민과 전쟁고아에 대한 의료지원은 북한의 전시 보건의료체계의 구축과 운영과정에서도 연변이 없어서는 안 될 또 하나의 주체였음을 잘 보여준다.

4. 맺음말

한국전쟁 시기 북한의 보건의료 분야가 어떻게 개편되었는가는 북한 의료사에서 중대한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북한의 전시체제를 이해하는 데도 적절한 연구소재지만, 그간 북한 의료사 연구는 전쟁기를 소홀히 다뤄왔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북한 전시 보건의료체계의 형성과정을 추적하였다. 그리고 중국 연변 조선인 사회의 북한에 대한 후방지원이 전시 보건의료체계를 지탱하는 주역이었음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밝히고자 하였다.
북한은 전쟁 발발과 동시에 전방구호대를 조직하고 야전병원을 세우는 등 보건의료체계를 군 중심으로 개편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북한의 보건의료사업은 후방 민간인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것에 역점을 두는 경향이 나타났다. 위생방역사업은 감염병 확산 방지라는 1차적인 필요 외에, 광범위한 대중 참여를 강조함으로써 이들을 통제·동원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막대한 의료인력에 대한 수요는 단기 양성으로 충당하고자 했으나 전쟁 중 의료인력은 늘 부족할 수밖에 없었다.
전쟁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북한에 의료인력을 보충해주고, 직접적인 전장에서 벗어나 비교적 안정적으로 병원을 운영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었던 것은 연변 조선인 사회였다. 수많은 연변 조선인들이 한국전쟁에 직·간접적으로 참전하였고, 조선인민군 군의로 활약한 사람들도 있었다. 연변 의료인력의 대규모 참전은 오랜 기간 쌓아온 연변과 북한의 의료교류가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연변 조선인들은 북한 부상병, 난민, 전쟁고아도 적극 수용하여 이들에게 다양한 의료조치를 취했다. 전쟁 기간 중 연변은 북한과 다름없는, 아니 오히려 전투가 벌어지고 있는 북한지역 내에서는 할 수 없는 의료행위가 가능한 안전한 후방이었다.
이상의 북한 전시 보건의료체계 연구가 의료사에서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자료의 한계로 북한 전시 보건의료체계의 전체적인 구조와 조직형태를 그려내는 데는 미흡했으나, 현재 확인 가능한 자료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북한이 전쟁이라는 비상사태에 직면했을 때 보건의료 분야를 어떻게 개편하고자 했는지 설명하였다. 더불어 북한 보건의료의 발전과정을 모두 수령과 당의 배려·지도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는 현재의 공식 서술과 달리, 한국전쟁기 북한의 보건의료체계는 연변 조선인 사회라는 외부 지원 없이는 운영될 수 없는 것이었음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드러내었다.42)
둘째, 전쟁기에 확립된 위생방역사업의 방침과 운영 방식을 추적하여, 이것이 전후복구 시기뿐 아니라 현재의 북한에서도 일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위생문화운동의 원형임을 지적하였다. 전쟁으로 전면화된 위생방역사업과 이를 이용한 대중 동원의 경험은 북한 주민들에게 내면화되어 이후 그들의 행동양식과 생활문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와 함께 현재 북한이 자신의 보건의료 분야 특징 중 하나로 내세우는 대중의 자각적인 보건사업 참여 역시 상당 부분 한국전쟁기 체험에 기반하고 있음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북한 전시 보건의료체계 구축에서 연변 조선인 사회의 역할에 주목함으로써, 일국사적 관점에서 설명되어 온 역사를 동아시아적 맥락으로 다시 바라볼 때 더욱 풍성한 논의가 가능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북한 보건의료사를 일국사의 틀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적 시야, 나아가 냉전체제라는 세계사적 관점에서 조망할 필요성을 제기한다.43) 이러한 시각을 북한의 다른 시기 보건의료 분야 분석에도 적용한다면 북한 의학사 연구의 인식론적 지평이 보다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Notes

1) 이 시기 북한과 연변에서는 간호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현재 우리의 표준용어인 간호사로 통일하되 사료를 인용하거나 북한에서 사용한 고유명사일 때는 간호원이라 칭한다.

2) 뿐만 아니라 조선인민군은 의료용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고, 각 병원 및 의무대대에 1~2대의 차량이 있었지만 이것들로는 식량과 연료 수송만을 간신히 소화할 수 있을 정도였다. 방역기차 역시 300~400km 왕복에 20~30일이 소요될 만큼 느리게 움직여서 치료의 효율성을 급격히 저하시켰다.

3) 「해방지역 내에서의 치료비 규정 적용에 대하여(1950.8.23)」. NARA, RG 242, SA 2009, Box 7, Item 60. 이런 세부 규정은 「구호사업 보장에 관하여」가 “전쟁으로 생활 토대를 잃은 사람 들에게는 수혈값을 비롯한 약값까지도 전부 무료로 보장”하였다고 설명한 북한의 공식 서술(홍순원, 1981: 492)과 배치된다.

4) 김일성, 「후방을 튼튼히 보위하자(1950.8.29)」, 『김일성저작집』 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5) 「전시하 보건사업 정비 강화에 관하여(1950.12.27)」,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16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a: 494).

6) 김일성, 「보건일군들의 당면과업: 보건일군들과 한 담화(1951.11.30)」, 『김일성저작집』 6(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7) 「춘하기의 방역대책에 관한 결정서(1951.1.13)」, 『195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1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b: 6-7). 여기에서는 전쟁으로 사망한 사람 및 일체 동물의 사체를 일정한 장소에 매장할 것, 1951년 3월 1일까지 수도·하수도·우물·공동 화장실을 청소하고 수리할 것, 극장 등 주민들이 자주 모이는 장소에 공동화장실과 공동오물통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소독할 것, 각 도시 및 촌락에서 방역상태를 조사하고 1951년 2월 20일까지 방역대책을 수립할 것 등이 규정되었다.

8) 「국가비상방역위원회 조직에 관하여(1951.1.24)」, 『195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1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b: 28-29).

9) 방역대는 1948년 중앙에 6개 각 도에 5개씩 창설되었고, 1949년 3월 30일 평안남도 보건부에서 1,400명으로 구성된 특별방역대를 조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전쟁 이전 방역대의 조직과 활동은 쉽게 활성화되지 않았다(김진혁, 2014: 269).

10) 펠셀은 대학 의학부나 의과대학을 졸업하지 않고도 시험에 합격하면 진료행위를 할 수 있는 의료인력이다. 북한 보건국은 1947년 8월 의료인력을 속성으로 양성하기 위해 펠셀시험 규정을 제정했다(김선호, 2017: 392).

11) 「방역대 사업요강(1951.1)」. NARA, RG 242, Korean, Chinese and Russian Language Documents Captured in Korea 09/1953–01/1958, Box 174, Folder 206553. 방역대에는 도·시·촌락의 전부 또는 일부의 교통을 차단하고 주민을 격리할 수 있는 권한, 기차나 선박, 자동차 및 사람들의 통행을 금지할 수 있는 권한, 감염병 전파 우려가 있을 때는 음식물의 판매와 공장의 작업 및 각종 영업을 중지시킬 수 있는 권한 등이 있었다.

12) 「방역에 헌신 분투: 연호면 내 위생초소들」, 『로동신문』, 1951.8.30, 3면.

13) 「귀환민들에 대한 위생방역사업 강화에 관하여(1951.3.29)」, 『195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3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b: 78-79).

14) 「전염병 예방대책에 관하여(1951.5.31)」, 『195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 7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b: 203-208).

15) 김일성, 「전반적 무상치료제를 실시하기 위한 준비를 잘 할 데 대하여: 보건성 책임일군들에게 준 지시(1952.1.20)」, 『김일성저작집』 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16) 「위생방역 강화와 동기 방역깜빠니야 조직 실시에 관하여(1951.9.15)」, 『195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13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b: 359-361).

17) 「전시 하 방역사업과 보건일군들의 임무」, 『로동신문』, 1951.4.8, 1면; 「하기방역사업을 일층 강화하자」, 『로동신문』, 1951.7.10, 2면; 「보건성에서 동기방역대책에 만전」, 『로동신문』, 1951.9.17, 1면; 「국가비상방역위원회의 보도」, 『로동신문』, 1952.4.31, 1면 등 참조.

18) 「각지의 방역태세 확립: 자강도, 강원도, 함남도」, 『로동신문』, 1952.3.25, 1면; 「철옹성 같은 방역진: 평양시, 평남도, 함남도, 동부전선」, 『로동신문』, 1952.4.3, 1면; 「적의 세균 만행을 분쇄하는 우리 방역대원들의 활동: 함남도에서, 함북도에서, 강원도에서, 평북도에서」, 『로동신문』, 1952.4.7, 3면 등 참조.

19) 「위생방역 강화와 동기 방역깜빠니야 조직 실시에 관하여(1951.9.15)」, 『195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13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b: 359-361).

20) 강진웅은 북한이 사회주의적 근대화 과정에서 전체 인구의 재생산, 보건위생, 체육 등을 합리적·과학적으로 경영하는 생명정치의 기제를 국가건설과 사회동원에 활용하였고 이로써 “새로운 주체의 인간형”을 대중들의 삶 속으로 침투시킬 수 있었다고 보았다(강진웅, 2013). 하지만 이 논문에서 한국전쟁기 북한의 위생방역사업은 언급되지 않는다.

21) 한 연구는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 위생선전과 계몽사업이 위생문화사업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주목하여, 국가권력이 대중 동원의 기제로 사용한 위생문화가 대중의 일상을 변화시켰음을 밝혔다(윤연하·김옥주·정준호, 2018). 이 논문은 위생문화사업이 단순한 보건정책이 아니라 국가권력이 일상에 깊이 침투하여 대중을 사회주의 사회에 적합한 인간으로 변화시키고자 한 대중 개조사업이었음을 잘 그려냈지만, 보건사업에 대중의 참여를 강조하는 군중노선이 등장한 것을 1956년으로 보는 등 1950년대 후반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앞서 살펴보았듯이 이 같은 모습은 전후에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다. 또 감염병을 매개하는 유해곤충의 박멸, 표어와 포스터 등을 통한 위생선전, 위생 관련 소책자 보급 등 이 논문에서 묘사하고 있는 1950년대 후반 위생문화사업은 전쟁기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 특히 현재 북한에서도 일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위생방역월간’은 한국전쟁 시기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전쟁기 위생방역사업을 그 기원으로 보아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이다.

22) 「전시하 보건사업 정비 강화에 관하여(1950.12.27)」, 『195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16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a: 494).

23) 「보건간부 양성사업 대규모로 전개」, 『로동신문』, 1951.3.12, 1면.

24) 「보건간부 단기양성사업 강화에 관하여(1951.5.25)」, 『195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공보 제7호』 (국사편찬위원회, 1996b: 195-196).

25) 다른 글에서 보건상이었던 리병남은 전쟁 기간 단기 양성한 의료인력을 ‘수천 명’이라고 언급하였다. 리병남, 「인민보건사업 발전을 위한 당과 정부의 배려」, 『인민보건』 9 (평양: 인민보건사, 1958.9: 5).

26) 김일성, 「보건일군들의 당면과업: 보건일군들과 한 담화(1951.11.30)」, 『김일성저작집』 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김일성, 「전반적 무상치료제를 실시하기 위한 준비를 잘 할 데 대하여: 보건성 책임일군들에게 준 지시(1952.1.20)」, 『김일성저작집』 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27) 전쟁 발발 2년 전인 1948년 북한에는 평양의학대학(의학부, 위생학부, 약학부), 함흥의과 대학을 비롯하여 21개의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학교에 104개의 학급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전쟁으로 거의 대부분 폐허로 변한 상황이었다.

28)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한 연변 조선족은 “통역, 간호사, 철도, 다리 수리하러 연변에서 1만여 명이 나갔습니다. 1개 사단 정도 되지요”라고 증언하였다(정현수, 2004: 264).

29) 「輸血로 戰線支援」, 『동북조선인민보』, 1950.11.11, 2면.

30) 「延吉市 人民들 參軍 戰勤을 紛紛히 志願: 延邊師範 延吉初中 七百餘名 輸血隊에 參加」, 『동북조선인민보』, 1950.11.9, 1면. 이 기사에 따르면 옌지초급중학교에서는 400여 명, 연변사범학교에서는 330여 명의 교직원과 학생들이 수혈대로 지원하였다.

31) 한국전쟁에서의 세균전 논쟁은 1951년부터 북한과 중국 등 사회주의 진영이 미군의 세균무기 사용을 주장하며 시작되었다. 미국은 이를 부인하였지만 북한이나 중국정부에서는 지금도 미군의 세균전 시행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 학계나 일반인들 사이에서 한국전쟁 당시 미국이 세균전을 벌였다는 것은 거짓말이라는 공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黃永遠, 2016: 217-218).

32) 「미제의 살인귀들의 세균무기 사용에 대하여 인민들의 분격 비등: 중국 동북에 대한 미군의 세균무기 사용에 항의하여 주은래 외교부장 성명 발표」, 『로동신문』, 1952.3.11, 1면; 「미제의 세균무기 사용에 항의: 중화전국민청련합회 세계 민청에 메세지」, 『로동신문』, 1952.3.11, 1면.

33) 『동북조선인민보』, 1952.3.13; 『동북조선인민보』, 1952.3.15. 인쇄 상태 불량으로 기사 제목과 면수 판독은 불가능하다.

34) 「吉林省人民政府關于設立傷員招待站的令(1950.11.11)」(吉林省榶案館黨政管理處, 2000: 45). 부상병초대소의 주요 임무는 부상병을 실은 기차가 역에 도착하면 식량과 기타 필수품을 제공하고 그들을 가까운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었다. 의료인력을 조직하여 수혈이 필요한 부상자들에게 혈액을 제공하고 상처를 처치하는 응급조치를 해주는 일도 부상병초대소의 역할이었다.

35) 연변 조선족 윤○○의 구술(2018년 5월 25일, 한양대학교 제1의학관 5층 석천세미나실). 구술자는 1932년생으로 한국전쟁 중인 1952년 연변대학 의학부에 입학한 의사 출신이며, 이후 모교 교수로 한평생 연변 의학교육에 몸담아 온 인물이다.

36) 위생대원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조선족 장군자(張君子)의 증언(徐龍男·全毅, 2016: 442).

37) 조선인민군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조선족 임수길(林秀吉)의 증언(徐龍男·全毅, 2016: 424).

38) 조선인민군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조선족 박재봉(朴載鳳)과 홍성표(洪成杓)의 증언(徐龍男, 2014a : 234, 243).

39) 조선인민군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조선족 전형진(全炯振)의 증언(徐龍男, 2014b: 222).

40) 1950년 7월 입북하여 조선인민군 군관학교 참모학습반을 졸업하고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조선족 주학권(朱學權)의 증언(徐龍男, 2014a: 246).

41) 『東北行政委員會給政務院的報告(1953.3.23)』(손춘일, 2015: 170에서 재인용).

42) 이 문제의식은 김진혁의 논문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지면을 빌려 감사드린다.

43) 이와 관련하여 향후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지역은 중국이다. 중국의 항미원조(抗美援朝)에서 보건의료적 지원이 차지한 비중, 중국의 중의학(中醫學) 강조와 중서의(中西醫) 통합노선이 북한 한의학 정책에 준 영향 등을 상기해보면, 중국 전체로 연구범위를 확장하여 북한 보건의료사의 동아시아적 맥락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Figure 1.
The activity of a frontline health worker for disease control during the Korean war
그림 1. 한국전쟁 중 북한 방역대원의 활동
kjmh-29-2-503f1.jpg

References

국립출판사, 『동기방역사업에 대한 대책』 (평양: 국립출판사, 1951).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pp. 23.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1996a).

국사편찬위원회, 『북한관계사료집』 pp. 24.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1996b).

군사편찬연구소,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pp. 2.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a).

군사편찬연구소,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pp. 3.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b).

김익복, 「해방 후 공화국 북반부 인민보건사업 발전의 몇 가지 지수」, 『인민보건』 5 (평양: 인민보건사, 1957a.5).

김익복, 「해방 후 12년 간의 인민보건사업의 발전」, 『인민보건』 8 (평양: 인민보건사, 1957b.8).

김일성, 「보건일군들의 당면과업: 보건일군들과 한 담화(1951.11.30)」, 『김일성저작집』 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김일성, 「전반적 무상치료제를 실시하기 위한 준비를 잘 할 데 대하여: 보건성 책임일군들에게 준 지시(1952.1.20)」, 『김일성저작집』 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김일성, 「후방을 튼튼히 보위하자(1950.8.29)」, 『김일성저작집』 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량철환, 「해방 후 우리 대학의 발전 12년간」, 『인민보건』 8 (평양: 인민보건사, 1957.8).

리명구, 「우리나라에서 보건간부 양성사업의 발전」, 『인민보건』 9 (평양: 인민보건사, 1958.9).

리병남, 「인민보건사업 발전을 위한 당과 정부의 배려」, 『인민보건』 9 (평양: 인민보건사, 1958.9).

보건성 위생선전부, 『동기방역사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평양: 보건성 위생선전부, 1952).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 1951~1952』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1952).

최형규, 「해방 후 우리 연구소가 걸어온 길」, 『인민보건』 8 (평양: 인민보건사, 1957.8).

「방역대 사업요강(1951.1)」. NARA, RG 242, Korean, Chinese and Russian Language Documents Captured in Korea 09/1953–01/1958, Box 174, Folder 206553.

「해방지역 내에서의 치료비 규정 적용에 대하여(1950.8.23)」. NARA, RG 242, SA 2009, Box 7, Item 60.

「吉林省人民政府關于設立傷員招待站的令(1950.11.11)」 (吉林省榶案館黨政管理處, 「抗美援朝專題史料」, 「蘭台內外」 2000-5).

연변 조선족 윤○○의 구술 (2018년 5월 25일, 한양대학교 제1의학관 5층 석천세미나실).

강진웅, 「1950-1960년대 국가형성기 북한의 생명정치와 사회주의 주체 형성」, 『사회와 역사』 98 (2013).

강 창록·김 영순·이 근전·일 천, 『주덕해』 (서울: 실천문학사, 1992).

고요한·김옥주·정준호, 「북한 천리마 운동과 보건 의료 인력의 동원, 1956-1961」, 『한국과학사학회지』 40-3 (2018).

곽희환·김옥주·정준호, 「생태계의 사회주의적 개조: 북한의 폐흡충 박멸 사업, 1956- 1961」, 『한국과학사학회지』 40-3 (2018).

김근배, 「북한 함흥의과대학 교수진의 구성, 1946-48: 사상성과 전문성의 불안한 공존」, 『의사학』 24-3 (2015).

김선호, 「조선인민군의 군의(軍醫)체계 형성과 군의장교」, 『의사학』 26-3 (2017).

   ,김선호, 「한국전쟁기 조선인민군의 재편과 북한·중국·소련의 이견과 조율」, 『한국사연구』 180 (2018).

김 중생, 『조선의용군의 밀입북과 6·25전쟁』 (서울: 명지출판사, 2000).

김 우종 구술·류 승주 엮음, 『재중 동포의 현대사: 조선족 역사가 김우종의 생애』 (서울: 선인, 2019).

김진숙, 『북한 ‘약학부문사업’과 보건의료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사회문화언론전공 박사학위논문 (2012).

김진혁, 「북한의 위생방역제도 구축과 ‘인민’의식의 형성(1945~1950)」, 『한국사연구』 167 (2014).

김진혁, 「북한전염병사(1945-2000)」, 『연세의사학』 20-2 (2017).

김진혁·문미라,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의료지원과 교류(1945-1958): ‘소련배우기’와 ‘주체적’ 발전의 틈새에서」, 『의사학』 28-1 (2019).

리해식, 「연길시전시간호학교」,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 편집위원회,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 6: 창업』 (연길: 민족출판사, 1994).

문미라, 「한국전쟁 시기 중국인민지원군·연변(延邊) 조선인 사회의 ‘후방지원’ 활동과 북중 ‘혈맹’관계의 강화」, 『동북아역사논총』 57 (2017).

문미라·신영전, 「용정의과대학(龍井醫科大學)의 설립과 운영 –변경사로서 용정의과대학의 역사: ‘단절’과 ‘연속’의 관점에서」, 『의사학』 26-2 (2017).

문 옥륜, 『북한의 보건의료제도 운영: 탈북자 증언을 중심으로』 (서울: 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2001).

박윤재·박형우, 「북한의 의학교육제도 연구」, 『의사학』 7-1 (1998).

박 재형·김 옥주·황 상익, 『북한의 의학교육』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보건부 김일성동지보건사상연구실, 『김일성동지의 보건령도사』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손춘일, 「한국전쟁 발발 후 북한난민에 대한 중국정부의 정책」, 『국가전략』 21-3 (2015).

신동원, 「1960년대 이후 북한 한의학의 변천과 성격」, 『한국과학사학회지』 25-1 (2003a).

신동원, 「해방 이후 북한 한의학의 변천, 1945-1960)」, 『한국과학사학회지』 25-2 (2003b).

심 지연, 『역사는 남북을 묻지 않는다: 격랑의 현대사를 온 몸으로 살아온 노촌 이구영 선생의 팔십 년 이야기』 (서울: 소나무, 2001).

엄주현, 『『김일성저작집』을 통해 본 북한의 보건의료 인식과 체계의 구축』, 북한대학원대학교 정치통일전공 석사학위논문 (2014).

연변당사학회 편찬, 『연변 40년 기사(1949~1989)』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1989).

염 인호, 『또 하나의 한국전쟁: 만주 조선인의 ‘조국’과 전쟁』 (서울: 역사비평사, 2010).

윤연하·김옥주·정준호, 「사회주의적 생활 양식으로서의 위생: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의 위생 문화 사업을 통한 대중 개조」, 『한국과학사학회지』 40-3 (2018).

이성봉, 「북한 보건의료체계의 형성과정과 특징」, 『통일문제연구』 52 (2009).

이 철수, 『북한보건의료법제 : 원문과 해설』 (서울: 계축문화사, 2006).

이혜경, 『북한의 ‘보건일군’ 양성정책 연구 : 체제수호 전위양성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정치통일전공 박사학위논문 (2013).

정현수, 「중국 조선족의 한국전쟁 참전연구」, 『윤리연구』 57 (2004).

정협 연변조선족자치주 문사자료위원회, 『돌아보는 력사』 (심양: 료녕민족출판사, 2002).

최영인, 『‘정성운동’이 북한 보건의료에 미친 영향』, 서울대학교 의학과 의사학전공 박사학위논문 (2005).

한선희·김옥주,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 파블로프 학설의 역할」, 『의사학』 22-3 (2013).

허윤정·조영수, 「해방 직후 북한 의학교육의 형성: 1945~1948」, 『의사학』 23-2 (2014).

홍 순원, 『조선보건사』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1).

황 상익, 『1950년대 사회주의 건설기의 북한 보건의료』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황상익·김수연, 「해방 전부터 정부 수립까지(1945년-1948년)의 북한 보건의료」, 『의사학』 16-1 (2007).

黃永遠, 「왜 거짓말을 하였는가? -한국전쟁기 중국에 의한 미군 세균전 사실 조작의 한 단면-」, 『생태환경과 역사』 2 (2016).

FAN JIANGQI, 「1945~1950년대 말 북한과 중국의 의료교류」, 연세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徐龍男, 「朝鮮戰爭中轉入朝鮮人民軍的中國朝鮮族參戰軍人採訪錄(三)」, 『冷戰國際史硏究』 2014-1 (2014a).

徐龍男, 「朝鮮戰爭中轉入朝鮮人民軍的中國朝鮮族參戰軍人採訪錄(四)」, 『冷戰國際史硏究』 2014-2 (2014b).

徐龍男·全毅, 「朝鮮戰爭中轉入朝鮮人民軍的中國朝鮮族參戰軍人採訪錄(五)」, 『冷戰國際史硏究』 2016-1 (2016).

劉建林·宋昀航, 「延邊大學對朝鮮赤十字第十二戰時看護員學校的敎育援助」, 『中國邊疆民族硏究』 10 (2016).

尹宗柱 主編, 『中國朝鮮族醫學敎育先驅 盧基舜』 (延吉: 延邊大學出版社, 2012).

鄭鳳霞 主編, 『延邊醫學院人物鑒』 第一冊 (延吉: 東北朝鮮民族敎育出版社, 1995).

朱繼光, 「抗美援朝運動中的江蘇南京志願醫療團」, 『當代中國史硏究』 18-3 (2011).

崔昌海 主編, 『延邊大學醫學院院史(1948-2003)』 (延吉: 延邊大學醫學院院史編委會, 2003).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0
Scopus
4,669
View
127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Korea (06591)
TEL: +82-2-3147-8306   FAX: +82-2-3147-8480   E-mail: medhistory@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  KSHM HOME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                 Developed in M2PI